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월호 침몰] 목숨 건 잠수 구조작업 ‘채용 매뉴얼도 없었다’
[헤럴드경제=서지혜ㆍ박혜림(이상 진도) 기자] “잠수업계라는 게 좁아서 실력이 있는지 여부는 주변 사람들의 말을 통해서...”

지난 7일 진도군청에서 세월호침몰 관련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의 브리핑에서 해경 관계자는 “숨진 민간잠수사의 잠수자격 여부는 어떻게 확인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 같이 답했다. 해경이 이날 브리핑에서 “구조작업에 투입됐다 숨진 민간 잠수사 이광욱(53) 씨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행하는 산업잠수기사, 산업잠수기능사 등 국가 공인 자격증이 없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해경 측은 “국가 공인자격증은 갖고 있지 않으며, 관련 자격증을 발급하는 민간협회가 많아 그 부분은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팽목한 현장에 있는 민간잠수사 자원봉사단체 등에 따르면 현재 사고 지역에서 민간잠수사를 모집하는 단체는 한국해양구조협회를 비롯해 대한인명구조협회, 북파동지회, UDT 동지회, 대한수중환경협회, 한국구조연합회, 특전사 동지회 등 다수다. 각 단체는 저마다 다른 모집 요건을 제시하는데, 한국해양구조협회의 경우 ‘심해잠수사, 산업잠수기능사 이상 자격을 소지한 대원으로 5년 이상 현장 실무 경력이 있는 표면공급식 잠수 가능자’를 모집 자격으로 한다.

실제로 잠수업계 관행상 민간자격증보다 장기간의 잠수활동과 다양한 환경 경험 등, 경력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처럼 다양한 민간단체에서 모집된 잠수사들을 수색작업을 총지휘하는 해경이 정확한 신원확인도 없이 무분별하게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는 점. 사망한 민간잠수사는 잠수관련 국가공인자격증이 없는데도, 30년경력 베테랑이라는 지인의 말만 듣고 수색 작업에 투입했으며, 만일을 대비한 보험가입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

해경은 사고가 발생한 7일 오후에도 민간잠수사 20여 명을 추가로 투입했지만 여전히 명확한 모집 기준을 정하지 않고 있다. 해경 측은 “향후 투입될 민간잠수사들은 어떤 기준으로 작업에 참여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이번에도 “경력과 지인들의 평가 등을 고려해서…”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이처럼 해경이 안전대책 마련에 소극적이자 현장에서 동료를 잃은 민간잠수사들 사이에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구조본부장은 “민간잠수사 증원 요구가 거세지면서 공명심 앞세운 검증 안된 사람들을 자꾸 투입하게 된다”며 “한 번 실수로 큰 일이 벌어질 수 있어 민간잠수사들도 혹시 내 차례가 되면 죽을 수도 있다는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