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성화 전문대학 123개교 신청, 입학정원 평균 7.7% 감축 계획
[헤럴드경제 = 박영훈 기자]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에 신청한 전문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정원을 평균 7.7%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접수결과 전국의 137개 전문대학 중 123개교(89.7%)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은 교육부가 올해 2963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1조5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특성화 전문대학’을 84개교 육성하는 사업이다. 아울러 기업체 재직자, 퇴직자, 이직자 등이 자유롭게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생직업교육대학’을 16개교 육성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교육부는 특성화 사업을 대학 구조개혁과 연계하기 위해 2015∼2017학년도 입학정원을 2014학년도 대비해 7% 이상 감축 시 점수를 3점, 5% 이상∼7% 미만은 2점, 3% 이상∼5% 미만은 1점을 주기로 했다.

특성화 사업은 Ⅰ유형 단일산업분야, Ⅱ유형 복합산업분야, Ⅲ유형 프로그램 특성화, Ⅳ유형 평생직업교육대학 특성화로 나뉜다. 특성화 사업 중 ⅠㆍⅡㆍⅢ 유형에 참여한 전문대학의 자율적인 정원 감축률은 평균 7.7%로 집계됐다.

Ⅰ유형인 ‘단일 산업분야 특성화’ 사업에서 수도권 전문대학 9개교는 평균 11.4%, 지방 17개교는 8.6% 감축 계획을 마련했다. Ⅱ유형인 복합 산업분야 특성화에는 수도권 28개교, 지방 54개교가 신청해 각각 정원을 7.1%, 7.7% 줄이겠다고 밝혔다.

프로그램특성화인 Ⅲ유형에서는 지방 3개교가 평균 6.7% 감축 계획을 수립했다. 사업신청 조건이 학위 과정 모집정원의 20∼50%인 평생직업교육대학 사업에 참여한 11개교의 평균 감축률은 33%였다.

교육부는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 권역별로 예술 관련 단일산업분야 특성화 전문대학을 최소 1개교씩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 평가에서 예술계의 취업 특성을 고려해 국세 데이터베이스의 1인사업자와 프리랜서도 예술계열 취업률에 포함하며 공연이나 전시 등을 한 경우도 취업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또 예술계열 취업률은 타 계열과 구분해 별도로 평가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다음달 중순 78개교 이내의 특성화 전문대학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