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월호 침몰] 해경, 창설 사상 최악의 ‘위기’…세월호 침몰로 위상 바닥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해양경찰청이 창설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올해로 창설 61주년을 맞고 있는 해경은 진도 세월호 참사 사건으로 그 위상이 거침없이 침몰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창설 60주년을 맞아 해경 사상 처음으로 내부 승진해 발령 받은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의 인사로 인해 축제분위기로 가슴 벅찼던 해경이 1년만에 국민의 지탄을 받게 된 것이다.

세월호 침몰사건 수습 과정에서 해경은 초동대처 미흡과 수색작업 난맥상을 보이자,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기 때문이다.

해경은 지난 1953년 출범 이후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 현장에서 몸을 던지고 독도와 이어도 해역을 자신의 목숨처럼 수호하며 국민 속의 해상 치안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해상에서 사투하며 국민의 성원을 한몸에 받았던 해경은 세월호 침몰사건 이후 걷잡을 수 없는 공분으로 순식간에 뒤바뀌었다.

현재 해경청 홈페이지에는 해경의 초동대처 미흡과 수색작업 난맥상을 비난하는 글들이 연일 오르고 있다.

네티즌들의 비난하고 있는 글 내용은 ▷신고 학생에게 선박의 경도와 위도를 물어보며 시간을 허비한 점 ▷현장 첫 도착 경비정이 선원 구조에만 급급한 나머지 선체 내부 승객의 탈출을 유도하지 못한 점 ▷수색현장에서 민간잠수부와의 갈등을 초래한 점 등 사건 초기부터 현재까지 해경의 대응방식이 모두 질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해경은 ‘무능하고 판단력이 부족하면서 해경 기능을 해군에 넘겨주고 해경을 폐지하라’는 등 해경 비난의 여론은 날이 갈수록 높아만 가고 있다.

이에 앞서 김석균 해경청장은 지난달 30일 진도군청에서 열린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 피해 가족과 국민들에게 공식 사과를 한 바 있다.

실종자수색작업에서 조기에 성과를 내지 못하고 수색작업이 지체돼 혼선을 초래한 데 대해 무거운책임을 통감하면서 해난사고의구조 책임자로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초기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희생자가족들과 국민들 질타를 머리 숙여 받아들였다.

김 청장은 특히 수색구조활동이 끝난 이후에 모든 지적과 의혹, 잘못을 숨김없이 모두 다 밝힘과 동시에 과오에 대해 국민의 질책을 달게 받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 검경합동수사본부는 해경의 ‘근무 태만’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목포해양경찰서 상황실을 압수수색했었다.

그러나 해경만을 탓할것도 아니다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해경 인력은 지난 2004년 5400명에서 2014년 1만1600명으로, 예산은 2004년 5300억원에서 2014년 1조1000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해경 인력과 장비 확충에 비례해 현재까지도 인력과 장비 부족은 열악한 상황이다.

일반 경찰 인력 보다 터무니없이 부족한 현재의 해경 인력과 장비로는 해상 업무를 맡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일반 경찰이 대부분 지방청 산하에 10개 이상의 경찰서를 두고 있는 것과 달리 해경지방청은 산하에 2∼5개 경찰서만 두고 있을 뿐이다.

또 해경 경무관 이상 고위간부 14명 대부분은 경비함정 승선 근무 경력이 없고 경비함장 출신은 단 1명도 없다. 해군의 장성들이 대부분 함장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지휘관의 현장 경험 부족은 해상 특수성에 맞는 원활한 임무 수행, 함정 승조원 지휘, 일사불란한 업무 처리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한편, 해양경찰대는 지난 1979년 10월 본대 청사를 부산에서 인천으로 옮겼고, 지난 1996년에는 국토해양부 전신인 해양수산부의 독립 외청으로 승격, 경찰청과 분리돼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됐다.

현재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내 해경 본청이 자리잡고 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