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박영훈> 무조건 수학여행 금지라니…
안전불감증이 낳은 세월호 침몰 참사. 안타깝게도 희생자 대부분은 수학여행을 떠나던 고등학생들이었다. 너무도 아까운 젊은이들이 희생된 것이다. 그래서 더욱 슬픔이 배가된다. 이에 세월호 침몰 대참사를 계기로 ‘소몰이식’ 단체 수학여행이 결국 도마에 올랐다.

수학여행 존폐 여부를 놓고, 교육계가 뜨겁다. 사회 분위기와 학부모들의 불안심리가 겹쳐 수학여행을 아예 폐지하자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가 하면 한편에서는 교육적 효과나 선생님ㆍ친구들과의 소통 등을 이유로 폐지에는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역시나였다. 교육부는 이번 학기에 모든 초중고 수학여행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문제는 비슷한 대책은 두달 전에도 나왔다는 것이다. 지난 2월 경주 마우나리조트가 무너져 예비 대학생 등 10명이 숨지자, 교육부는 학생회가 단독 주관하는 신입생 행사 모두를 금지시켰다.

사고가 날때마다 ‘금지’만 외치고 있는 셈이다. 어떤식으로든 수학여행에 대한 개편 논의는 필요해 보인다. 수학여행에서 발생한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3년간 초중고 수학여행 중에 일어난 사고는 무려 576건에 달한다. 학생들이 단체로 움직이다 보니 한번 사고가 나면 규모가 커지게 돼 있다.

하지만 수학여행을 못가게 하는 한시적이고 임시방편적인 조치로 근본적인 안전 문제를 해결할수는 없다. 사고가 날 때마다 땜질식으로 추가되는 매뉴얼이 학교 현장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도 않는 게 현실이다.

교육계에서는 수학여행 존폐를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학급별 소규모, 주제별 체험활동으로 전환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머리를 모아 의견을 수렴하고, 해답을 도출해야 할 때다.

방향은 한가지로 보인다. ‘무조건 금지’라는 근시안적인 조치보다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 각종 사고에 미리 대처할수 있는 근본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수학 여행’, 그 자체는 죄가 없다. 죄가 있다면 그 프로그램 운영을 안전불감증으로 운영하는 몇몇 당사자들에게 있을 것이다.

박영훈 사회부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