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진도여객선 구조자,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어떻게 치료해야할까?’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사고 및 재난 상황 이후 급성 스트레스 장애가 발생하면 사고장면에 대한 악몽 등의 재경험, 작은 소리에 놀라고 잠을 들기 힘든 과각성, 외부활동을 못하고 사람을 피하게 되는 회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는 대개 사고 일주일 이후부터 차차 안정을 찾을 수도 있으나 한달 이상 장기화되면 만성적으로 증상이 지속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행할 수 있다.

는 장기간 장기간 지속될 경우 우울증 등 다른 정신장애가 동반되고, 심한 경우 자살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이를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 저절로 회복될 확률은 매우 낮아고 알려져있다. 치료받지 않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10년이 지난 뒤에도 40%가 회복되지 않고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초기에 피해자 및 관련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만성화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사고 초기에 위로와 함께 고통스런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심리적 지지와 함께 사회적 지지체계의 연결이 필요하다. 또한 사고 직후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도 1~2주 후에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드물지만 몇 달 뒤에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받아야한다다. 일반적으로 10~20%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행하므로 불면증이나 불안,해리, 혼돈 등 심리적인 문제를 보이는 경우 더욱 적극적인 치료와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비롯한 공인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제가 적절한 시기에 사용되어야 하며 인지행동치료를 포함한 정신치료의 치료효능이 잘 알려져 있어 조기개입이 필수적이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