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진해운, 매출 10조 탈환 5년내는 어려울듯

벌크사업 매각 등 구조조정 영향
향후 5년 매출 정상화 난항 예고


향후 5년 간 한진해운의 매출 정상화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구조조정의 ‘상처’ 탓이다. 지난 2012년 매출 ‘10조 클럽’을 달성했지만, 2018년까지도 이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게 회사 측 판단이다.

16일 한진해운홀딩스와의 분할합병을 위해 한진해운과 한영회계법인이 만든 ‘중장기(2014~2018년)경영전망’ 보고서에는 2018년까지 매출 및 경영전망이 상세히 나왔있다. 

자료를 보면 올 해 한진해운 매출은 8조8448억원으로 지난 해(9조8834억원)보다 약 10.51%(1조385억원) 줄어든다. 1조원대를 유지하던 벌크선 사업부 매각으로 올 해부터 이 부문 매출이 4000억원대로 절반 이상 축소되는 탓이다. 내년부터는 매출 규모가 3000억원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컨테이너선 비중은 더욱 늘어난다. 글로벌 선사 동맹체 ‘P3’의 출범으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미주ㆍ구주노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아시아 노선 비중도 늘려갈 계획이다.

회사는 오는 2016년까지 3년 동안 매출이 8조원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해운 경기회복이 그만큼 더딜 것으로 본 것이다.
 
2017년에는 매출이 9조1420억원을 기록하며 9조원대를 회복할 것으로 봤지만 2011년(10조1745억원) 수준 회복은 어렵다고 내다봤다.

다만 주력 사업인 컨테이너선 부문에 대한 전망은 밝다. 

컨테이너 수송량은 매년 늘어나 2015년부터 500만TEU(1TEU는 20피트 단위 컨테이너 1개)를 넘길 것으로 내다봤다. 올 해 연간 컨테이너 수송량은 489만6500TEU로 지난 해(475만3000TEU)보다 3%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운임수입도 올 해는 6조2307억원으로 전년(6조6591억원)보다 소폭 감소하겠지만 내년부터 2018년 6조8314억원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아시아 노선의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박수진 기자/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