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자담배도 담배’…길거리 퇴출 운명
WHO, 동일한 규제 적용 계획
‘전자담배도 담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전자담배를 보통 담배와 똑같이 규제할 계획이어서, 담배 ‘사촌’ 전자담배도 길거리에서 사라져야할 운명에 처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 보도했다.

FT가 검토한 WHO 문건에 따르면, WHO는 전자담배를 기존 담배 규제 틀에 따라 정의할 계획이다.

하이크 니코시안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사무총장은 최근 회의에서 “전자담배는 담배를 만연시키는 새로운 조류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전자담배의 유해성이 더욱 엄중하게 처리돼야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 회의에서 WHO의 6개지역 대표들도 “전자담배도 WHO FCTC에 따라 담배로 간주되어야한다”고 지지했다.

전자담배는 대부분 액체 니코친에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증기를 흡입하는 형태다. 이 니코친 함량 때문에 전자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향후 일반 담배 흡연자로 바뀔 것이란 우려가 전자담배 반대론자들 사이에서 제기돼 왔다. 또 전자담배 TV광고는 가능해 담배 광고를 금지 한 현행 금연법의 침해 가능성도 있다.

그동안 ‘무법’ 속에서 전세계 전자담배 판매는 2008년 2000만달러에서 지난해 30억달러로 5년만에 15배 성장했다. 최근 급성장에 따라 다국적 담배회사들이 전자담배를 출시했거나 개발 중이다. 담배회사 브리티시어메리칸타바코(BAT)는 최근 영국에서 10년만에 처음으로 스크린을 통해 전자담배 광고를 내보내기도 했다.

만일 전자담배가 기존 담배 규제를 적용받는다면 앞으로 TV광고 금지, 공공구역 흡연 금지 등 막대한 의무를 져야한다.

산업론자들은 이런 규제가 담배의 대체재가 될 수 있는 전자담배의 성장성을 해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셰인 맥길 유로모니터 애널리스트는 “새로운 소비자를 끌어들이려는 산업계의 수용 능력을 훼손할 것이다. WHO는 전세계 제품 인지도에 막대한 영향을 줄 것이다”고 말했다.

전자담배회사 VMR은 ‘18세 미만에 대한 판매금지’ 같은 규제의 경우 환영할만하다고 FT에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대부분 업계는 전자담배를 전통적인 담배처럼 엄격히 규제해선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