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리한 다이어트, 우울증 · 자살 유발 가능성 높아져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몸에 해롭기만 한줄 알았던 지방이 너무 낮으면 자살을 시도할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무리한 다이어트가 비만세포에 있는 세로토닌을 낮춰 우울증과 자살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영민 교수팀의 연구 결과 자살 의도가 강한 우울증 환자의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자살 의도가 전혀 없는 우울증 환자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우울증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자살 의도가 강한 20명과 자살 의도가 전혀 없는 53명의 두 군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자살 의도군의 평균 혈중 중성지방 수치는 107 mg/dl로 자살 비의도군의 156 mg/dl 보다 30% 정도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혈중 중성지방과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수치가 너무 낮으면 세로토닌 기능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세로토닌은 중추신경계에서 주로 존재하며 행복의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로 뇌·내장조직, 혈소판, 비만세포에 들어 있다. 또 기분 조절과 수면·식욕에 영향을 미치고 세로토닌이 부족하게 되면 우울증과 불안증도 생길 수 있다.

지난해 발표된 박영민 교수의 이전 연구에서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우울증 환자의 세로토닌 기능이 한 번도 자살을 시도한 적이 없는 우울증 환자의 세로토닌 기능보다 약 50% 정도 더 떨어져 있다는 결과에서 보듯이 세로토닌은 자살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박영민 교수는 “뇌를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인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질의 부족은 세로토닌 합성과 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자살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연구로 너무 심한 다이어트를 할 경우 뇌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 수치의 저하를 유발하여 세로토닌 기능을 떨어뜨려 결국 우울증과 자살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영민 교수는 “이번 결과는 몸속 지방 수치의 저하가 세로토닌 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자살 가능성을 높인다는 가설을 입증한 연구”라며 “향후 더 많은 연구 과정을 거친다면 간단한 혈액 검사만으로도 자살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자살 예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기분장애학회(ISAD)의 공식 학회지인 정동장애학술지 최신호에 발표됐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