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 10명 중 1명 “병원 진료중 ‘성희롱’ 느꼈다”
[헤럴드경제=김기훈 기자]병원 진료를 받던 여성환자 10명 가운데 1명이 성희롱 등 성적 불쾌감을 겪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7일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진료 과정의 성희롱 예방 기준 실태조사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을 이용한 성인 여성 1000명 중 118명(11.8%)이 성희롱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은 19∼59세 성인 여성 1000명에게 최근 5년 내 진료과정 중 성적 불쾌감 등 경험 여부 등을 물었다. 성희롱을 겪었다고 답한 이들에게 구체적 경험을 물은 결과(이하 중복응답) 총 255건의 성희롱 사례가 집계됐다.

구체적 사례로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지 않는 공간에서 진찰 또는 검사를 위해 옷을 벗거나 갈아입은 것’(46건)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의료인이 외모나 신체 등에 대해 성적인 표현을 했다(30건) ▷진료와 관계없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상태에서 성생활이나 성경험을 물었다(25건) ▷진료와 관계없이 성적으로 신체를 만지거나 접촉했다(23건) ▷성생활이나 성적 취향에 대한 불필요한 언급을 했다(23건) 등의 답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성적농담(음담패설)이나 성적 비하(14건) ▷의료인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불필요하게 노출하거나 보여줌(10건) 등의 사례가 있었으며 성폭행을 당했거나 성폭행당할 뻔했다는 답도 2건 있었다.

성적 불쾌감을 가장 많이 느낀 진료과목ㆍ진료기관 1위는 내과(50.8%)였다. 이용 빈도가 높고 가슴과 배 부위 촉진이 빈번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산부인과(45.8%), 정형외과(24.6%)와 한의원(21.2%)이 뒤를 이었다. 밀착 진료가 이뤄지는 치과(20.3%)는 5위였다.

성적 불쾌감을 준 의료인ㆍ의료기사의 성별을 묻는 항목에서는 ‘남성’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80.5%였다. 그러나 ‘여성’이라는 응답도 37.3%를 차지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성적 불쾌감 등을 경험했음에도 아무 행동을 하지 않거나(62건), 해당 의료기관에 다시 가지 않는 등(37건) 소극적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진료 과정의 일부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적극 대응한다고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 등이 거론됐다.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는 의사와 환자 간 인식의 차이가 드러났다. 의사 135명과 한의사 65명 등 의료인 200명에게 설문한 결과 가장 빈번한 성희롱 상황으로 ‘환자의 명시적 동의없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진찰을 할 때 학생 등 제3자를 참관시키는 것’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의사들은 성희롱 등의 상황이 가장 잦게 발생할 것 같은 진료과목으로 산부인과, 비뇨기과, 성형외과 등 순으로 꼽아 환자들의 응답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