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감원, 카드사에 “1000억원대 IC단말기 전환기금 조성하라”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금융당국이 카드사 사장단을 긴급 소집해 개인정보 유출 후속 대책을 조속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후속 대책의 일환인 집적회로(IC) 카드용 단말기 보급을 위해 1000억원대의 사회공헌 기금을 조성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지난 4일 오후 국민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우리카드, 현대카드, 비씨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 사장들을 긴급 소집했다.

이날 회의는 조영제 금감원 부원장 주재 하에 열렸으며, 개인정보 유출 후속 대책에 대한 조속한 이행을 당부하고자 개최됐다. 금감원은 카드사가 개인정보 유출로 사회적인 충격을 줬음에도 비용을 이유로 후속 조치를 외면한다고 판단, 이같은 긴급 소집을 단행한 것이다.

금감원은 특히 이날 회의에서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대책으로 발표했던 집적회로(IC) 카드용 단말기 보급을 위해 1000억원대의 전환기금을 연내 조성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IC 단말기 전환사업은 정보 보안이 취약한 구형 결제단말기(포스단말기)를 IC 단말기로 바꾸는 것이다. 금감원은 현재 50여억원에 불과한 카드업계 사회공헌기금을 최대 1000억원수준까지 확대해 연내 IC 단말기 전환에 투입하라고 요구했다.

카드업계가 지난 2011년부터 매년 200억원씩 기금을 조성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치를 쌓으면 충분할 것으로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카드업계는 최근 국민카드 등에서 1억여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데다 매년 1조원 이상의 순익을 올리고 있어 거부할 명분은 없는 상황이다.

금감원은 또 포스단말기 가맹점에 대한 정보 보안 관리와 함께 결제 대행업체인 밴(VAN)사에 대한 감독도 철저히 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카드사가 밴사의 정보보안 수준을 확인하고 미비점을 바로잡는 것은 카드사 책임이며, 고객 신뢰 유지를 위한 필수 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밖에 카드 불법 모집이 카드업 건전화를 위해 반드시 근절돼야 하며, 윈도우 XP 만료에 따른 포스단말기 보안 문제에 대해서도 카드사 사장들이 관심을 둬야 한다고 요청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IC 단말기 전환기금 조성은 카드사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라면서 “기금 조성과 집행 방식은 카드업계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방안으로 논의하되 결론은 조속히 내도록 했다”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