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장사 임원 7.5% 연봉 5억원↑
[헤럴드생생뉴스]지난해 연봉 5억원 이상을 받은 상장기업 임원은 모두 64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6일 경제개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까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12월 결산 상장사 1666개사 가운데 418개사(25.1%)가 등기임원의 개별 보수를 공개했다.

지난해까지는 기업들이 등기임원 보수 총액만 공개하면 됐지만, 올해부터는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은 등기임원의 개별 연봉을 밝혀야 한다.

이에 따라 전체 상장사 임원 8579명 중 이번에 개별 보수가 공개된 등기임원은 모두 640명이다. 상장사 임원들의 7.5%가 연봉 5억원 이상을 받는다는 뜻이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임원 보수 격차는 상당히 큰 것으로 확인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상장사의 38.9%(273개사)가 등기임원의 개별 보수를 공시했으나, 코스닥시장에서는 이 비율이 15.0%(145개사)에 그쳤다.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은 임원 비율도 유가증권시장이 11.5%(459명)로 코스닥시장의 4.0%(181명)보다 훨씬 높았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임원의 평균 보수는 3억9900만원이었다. 이중 5억원 이상을 받아 개별 연봉이 공개된 임원들은 평균 13억65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코스닥 상장기업 임원들의 평균 보수는 3억7600만원, 연봉이 공개된 임원의 평균 보수는 9억8700만원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금융업과 보험업체에 종사하는 임원들의 연봉이 가장 높았다.

이 업종에 속한 55개사 중 60%(33개사)가 개별 임원 보수를 공개했다. 연봉이 공개된 금융ㆍ보험업종 임원들은 지난해 평균 15억3400만원을 받아갔다.

연봉 공개 대상이 된 상장사 임원들의 평균 보수는 12억5800만원인데, 이와 비교해 3억원가량 높은 것이다.

운수업(42.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1.7%)에 속한 기업의 임원 연봉 공개 비율도 높은 편이었다.

전기ㆍ가스ㆍ증기 및 수도사업(7억6500만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9억300만원) 등은 다른 업종보다 임원들의 평균 연봉이 작았다.

삼성(17개사), 현대차(11개사), 두산(6개사), 동양(4개사), 현대중공업·현대그룹(각각 3개사) 등 대기업집단은 모든 상장 계열사가 임원 보수 공개 대상이 됐다.

반면 농협, 미래에셋, 웅진, 이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등기임원 보수가 5억원이 넘는 상장 계열사가 단 한 곳도 없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