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관진 “北무인기 더 발전시 자폭기능 갖출수 있어”
[헤럴드생생뉴스] 김관진 국방장관은 4일 백령도와 경기도파주에서 추락한 북한 무인기와 관련해 “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더 발전하면 자폭기능까지 갖출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시급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현재는 초보적 정찰기능을 수행하는 무인기로 보이지만 향후 제어장치 등 고난도 기술을 습득하면 얼마든지 자폭기능까지 가능한 것으로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은 2000년대부터 무인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면서 “우리 군이 보유한 방공시스템은 크고 정상적인 비행물체에 대한 것이어서 이런 소형(무인기)은 탐지 못했다. 그동안 소형 무인기 탐지에 소홀했던 점을 인정하고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현재 초보적 사진촬영 정도라면 구글 사진과 유사한 수준이므로 아직 안보상에 심각한 위협으로는 평가하지 않지만 시간이 없으므로 빨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책에 대해 “(무인기를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를) 운영하는 일부 선진국이 있어 자료를 검토하고 있고, 시급한 시기에 전력화하도록 노력하겠다.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필요한 곳에 우선배치 하겠다”고 말했다.

추락한 무인기 외에 북한의 무인기가 추가로 우리 영공에 진입해 정찰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런 상황도 상상하면 배제할 수 없으니 중요 과제로 삼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상공이 뚫렸다”면서 이번 사건을 ‘1·21 무장공비 사태’에 비유한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의 지적에 김 장관은 “청와대까지 왔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의미를이해하겠다”고 말했으나 “무인기가 북한에서 청와대 인근까지 1시간여 비행했고, 평균 1∼2㎞ 상공에서 비행해서 육안 식별이나 소음 청취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과거 북한의 열병식에서 공개된 무인기에 대해서는 “규모가 큰 공격무기인데, 이것은 요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북한의 무인기 기술단계에 대해서는 “현재는 초보지만 시간이 지나면 상당한 무기급으로 발전할 수 있다”면서 “북한의 무인타격기 위력을 폄하하지는 않지만 크기나 속도를 보면 탐지와 추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 수준에 대해서는 “소형화 기술도 상당히 진척됐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으며, 우라늄을 이용한 핵무기를 만들 수준이 됐느냐는 질문에 “그런수준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4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한은 항상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성명 등을 봐서 할 수도 있지만 국제적 제재가 진행되고 있기에 좀 더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도 북한의 핵무기 기술에 대해 “소형화 기술이 상당히 진전됐다는 데 저희가 결론을 (내려)놓고 있다”면서 북한의 4차 핵실험 시 “안보리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강력한 징벌적 조치를 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북한 무인기 사건과 관련, “나름대로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이번 무인기 사건으로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