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지런한 치아, 투명교정 성공 노하우

치아교정의 수요가 늘어난 만큼, 교정술도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과거 철제 브라켓을 이용해 치아를 교정하던 방법에서 최근에는 부분교정, 설측교정, 세라믹교정, 콤비교정, 인비절라인교정, 투명교정 등 그 종류도 다양하고 각각의 특성도 다양하다. 특히 교정기간을 조금이라도 단축 시키고, 치아에 설치하는 브라켓을 감추고 싶어하는 젊은 층들에게 다양한 교정방법은 더 없이 반가운 소식. 그 중에서도 교정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꼈다 뺐다가 가능하며 투명한 틀을 이용한 교정장치가 눈에 잘 띄지 않는 투명교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투명교정은 교정을 위한 치아의 이동량이 많지 않은 경우 적합한 교정법이다. 치아에 교정장치를 고정하지 않고 꼈다 뺐다하는 탈부착식 투명한 틀을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게 되는데, 이 때 교정장치는 치아의 이동량을 계산하여 제작 한 후 정기적으로 교체해야만 한다. 때문에 교정 받는 기간 동안 2주일에 한번은 치과에 내원하여 치아의 본을 뜨고 장치를 교체해야만 한다.

교정과 전문의 이양구 원장(아이디치과)은 “투명교정의 경우 원하는 치아만 간단히 움직이길 원하거나 금속 알러지가 있는 경우, 양치질이 걱정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추천되는 치아교정법이다”고 말하며, “그러나 단순히 교정장치 탈부착이 가능해 원하는 시간대에만 낄 수 있다는 장점만으로 투명 교정법을 선택하게 되면 큰 교정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교정장치를 가급적 빼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처럼 투명교정법의 성공여부는 환자들의 인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철사 브라켓을 착용했을 때보다는 치아 관리가 편리하고 교정 중 필요에 따라 장치를 탈락 시키고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치를 가급적 장기간 착용해야 교정의 효과를 누리게 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2주일에 한 번씩 치과에 방문하여 치아본을 뜨고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때 투명교정기는 3차원적으로 환자 치아의 이동량과 교합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치과 내에 전문 기공실이 있거나 투명교정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경험 많은 기공사가 있다면 훨씬 편리하고 빠르게 교정기를 제작할 수 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