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미술시장 DB 구축 가속도
中 미술경매시장 점유율 1위
낙찰액 1조원 업체 속속 등장


세계 미술시장의 동향을 알려면 이제 중국 시장을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중국은 2010년 이후 미국과 영국을 제치고 미술경매시장의 국가별 점유율에서 1위(41%)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중국은 40억7800만달러(한화 약 4조3500억원)의 경매낙찰액을 기록해 미국(40억1600만달러)을 또다시 눌렀다.

또 미술에 열광하는 화교권 슈퍼리치들 때문에 상하이에선 새로운 미술관이 사흘에 1개꼴로 문을 열고 있다. 중국계 인도네시아 부호인 부디 텍(중국명 余德耀·위더야오)은 자카르타에 이어 올 초 상하이에 ‘유즈미술관(Yuz Museum)’을 개관했다. 베이징에서도 미술관 개관이 러시를 이루는 중이다.

중국은 미술시장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비록 선진화된 경매업체 설립은 한국에 비해 늦었지만 시스템 구축은 우리보다 훨씬 빠르다. 폴리옥션, 가디언(嘉德)경매 등 연 낙찰액 1조원을 넘어서는 업체가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미술시장에서 경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한다. 

중국 상하이의 록번드(Rockbund)미술관. 세계적인 작가 바티 커의 작품으로 외벽을 장식했다.

이에 따라 중국 최대의 미술시장 정보사이트인 아트론(artron.net)은 경매사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시장정보와 경매결과, 작가별 지수를 공표하고 있다. 아트론에는 서양화, 국화(중국화, 즉 전통적인 동양화) 두 부문으로 구분해 주요 작가의 가격지수와 낙찰정보가 자세히 소개돼 있다. 세계적인 미술시장 분석기관인 프랑스의 아트프라이스(Artprice.com)도 “중국 정보만큼은 중국 내 분석기관과 손잡지 않고선 취합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지난 2012년 아트론과 전략적 동맹을 맺었다.

오늘날 중국-미국으로 양극화되고 있는 세계 미술시장의 흐름을 비춰볼 때 이제 중국 시장동향을 모른 채 미술에 투자하는 것은 한쪽 눈을 감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더구나 중국 정부는 외국기업에 폐쇄적이었던 과거 태도를 바꿔 소더비와 크리스티의 중국 본토 경매를 허용했다. 또 소더비와 손잡고 세계적인 아트페어 ‘TEFAF’(The European Fine Art Fair)를 베이징에 유치하기도 했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