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주 공산성서 ‘백제 판축성벽’ 최초 확인
[헤럴드경제=박은혜 기자] 공주 공산성에서 백제시대 판축성벽이 처음 확인됐다.

문화재청과 충청남도, 공주시가 공주대학교박물관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 조사하고 있는 공주 공산성(사적 제12호) 성벽 붕괴 구간에서 백제시대 판축성벽(版築城壁)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판축성벽은 판으로 틀을 만들어 토사를 교대로 펴서 지반을 마치 시루떡과 같이 지반을 단단히 만든 성벽을 말한다.

이는 지난해 9월 14일 공산성 북서쪽 석축성벽 일부 9m가 붕괴 되면서, 붕괴 구간의 성벽 축조 현황에 대한 고고학적 확인을 위해 긴급 발굴조사하는 과정중에 나타났다. 


발굴 조사 지역은 1872년 제작된 지도에 암벽으로 표현될 정도로 암반이 많은 구간이며, 1960년대 말 사진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발굴 과정에서 1950~70년대의 유물(수통, 사탕 봉지 등)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훼손으로 인해 지속적인 개ㆍ보수가 이뤄졌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확인된 백제시대 성벽의 판축부는 암벽을 ‘ㄴ’ 자 모양으로 인위적으로 깎은 후 약 3m 너비로 판축다짐하면서 조성했으며, 판축된 성벽의 기저부에서 백제시대 기와편이 다수 출토됐다. 이를 통해 당시 암반지역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축성(築城)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발굴조사 결과 백제시대 판축 성벽 원형과 근대 성벽 유구까지 단계별로 확인되었다는데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동안 백제 한성 도읍기의 풍납토성과 사비 도읍기의 부소산성 성벽에 대해서는 조사를 통해 축조기법이 밝혀졌으나, 웅진 도읍기 왕성인 공산성의 축조기법은 규명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를 통해 일부 구간에서나마 성벽의 축조기법이 구체적으로 확인됨으로써, 백제 한성기와 사비기 성벽 축조기법의 기술적 연결고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문화재청과 충청남도, 공주시는 이번 발굴 조사지역에 연결되는 동쪽 성벽구간(9m)에 대해 5월까지 추가 발굴조사를 통해 공산성 일대 성벽의 축조현황에 대해 구체적인 자료를 파악할 계획이다.

gra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