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오바마에 항의전화한 저커버그 “정부가 인터넷 위협”
 “미국 정부는 인터넷을 위해 싸우는 투사가 되어야지, 위협이 되어서는 안된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정보기관 사찰에 대해 항의한 사실을 공개했다.

국가안보국(NSA)이 개인정보 수집에 나서 페이스북을 비롯한 정보기술(IT)기업들과의 긴장이 심해진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누리꾼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저커버그 CEO는 13일(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바마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정부가 모두의 미래에 해악을 끼치고 있는 것에 대해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표현했다. 불행하게도 진정한 전면 개혁이 이뤄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라고 썼다.
[사진=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통화가 언제, 어떤 형태로 이뤄졌는 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오바마 정부에 대한 실망감을 누리꾼과 공감하고, 정부의 개인정보 사찰과 관련해 페이스북은 사용자 편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속내로 풀이된다.

저커버그는 “우리 기술진이 보안강화에 힘쓰고 있고 정부가 아니라 범죄자들로부터 여러분을 보호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나는 이를 위해 온 힘을 다해 노력할 것이며 여러분들은 페이스북이 자기 역할을 해 낼 것이라고 믿어도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원하는 인터넷을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달려있다”고 호소했다.

또 정부를 향해선 인터넷의 위협이 되어선 안된다며 “정부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은 최악의 상황을 믿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의 발언은 지난 12일 한 인터넷매체가 NSA가 페이스북 서버를 사칭하는 방식으로 악성코드를 배포하고, 불법사찰을 벌이는 ‘터빈’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뒤 나온 것이다. 저커버그는 “미국 정부의 행태에 대해 많은 것이 보도되고 있어 이것이 나를 좌절하게 만들고 혼란스럽게 한다”고 토로했다.

한편 에드워드 스노든의 NSA의 정보 감시 프로그램 ‘프리즘’(PRISM) 폭로로 불거진 보안 강화 요구에 따라 지난해 말 IT기업들은 정부의 사찰프로그램 개혁을 건의한 바 있다. 당시 팀 쿡 애플 CEO, 딕 코스톨로 트위터 CEO, 마리사 메이어 야후 CEO,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 등 15명의 인터넷 거물들이 오바마 대통령을 만나 감시활동 체계 개혁을 요구했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