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베일’의 국정원 비밀 활동비 계좌, 이번엔 드러날까
[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검찰이 압수수색을 통해 국가정보원을 본격적으로 칼끝에 겨냥하면서 국정원의 비밀 활동비 계좌가 드러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 위조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이 국가정보원에 협력해 문서를 가져다준 조선족 김모(61) 씨의 계좌를 확인하는 등 자금원을 추적키로 하면서 베일에 쌓인 비밀 활동비 계좌가 수면위에 노출될지 주목되는 것이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윤갑근)은 김 씨와 김 씨에게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진 국정원의 ‘블랙요원’ 김모 과장(속칭 김 사장)간에 이뤄진 자금거래 및 통화내역을 추적중이라고 11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둘 간에 돈이 오갔다는 정황이 나와 이 부분을 확인하려 한다”며 “계좌추적 등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둘 간의 자금 거래를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자금의 출처인 국정원의 비밀 활동비 계좌가 드러나게 될 수 있어 관심이다. 국정원의 경우 예산을 총액만 보고해 승인받을 뿐, 사용처에 대해서는 외부의 관리를 받지 않아 그간 국정원의 예산이 어디에 어떤 식으로 쓰였는지 확인된 적이 없다. 과거 샘물교회 교인들의 아프가니스탄 피랍사건 당시에도 납치범들과 협상할때도 이 ‘국정원 자금’이 쓰였다는 설이 돌았으며 전두환 전 대통령이 비자금을 관리하는데에도 홍보회사 등을 빙자한 국정원 비밀계좌가 사용됐다는 사실이 지난 2004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전 전 대통령의 차남 재용(49) 씨에 대한 조세포탈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바 있다.

지난 국정원의 정치ㆍ대선 개입 의혹 사건때에도 국정원이 민간요원(P.A)에게 돈을 주고 글을 게시하게 하거나 추천하게 했다는 의심을 샀지만 돈을 줬다는 남재준 원장의 시인이 있었을 뿐, 특정이 안돼 수사에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 검찰이 2차 공소장 변경을 통해 민간 조력자가 작성한 2만7000여건의 트윗게시글을 제외한 바 있다.

검찰은 둘 간에 오고간 자금 흐름과 그 출처, 그리고 통화내역과 위치추적등을 통해 국정원이 문서의 ‘위조’를 직접 지시했는지, 아니면 조선족 김 씨에게 정상적인 문건을 입수할 것을 지시했으나 김 씨가 국정원을 속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검찰은 1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국가정보원을 압수수색해 국정원 관련 대공수사팀 등 사무실에서 내부 문건과 인트라넷, 컴퓨터 서버 등과 관련한 전산자료, 대공수사 관련 기록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김 씨가 국정원 협력자로 어떤 활동을 해왔는지, 국정원과 김 씨가 문서 위조를 공모했는지, 그 대가로 김 씨에게 금품이 전달됐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 결과를 토대로 ‘김 사장’을 포함한 국정원 대공수사팀 직원, 주중 선양영사관 관계자, 국정원 협력자 등에 대한 소환 조사도 강도높게 진행할 예정이다.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