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멍 뚫린 대학 보안…모바일학생증 ‘바코드’ 거래 기승
[헤럴드경제=민상식 기자]자신의 모바일학생증 ‘바코드’를 복사해 판매하는 대학생이 늘고 있다. 이런 학생증 거래는 대학 내 절도 등 범죄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존에 이뤄지던 학생증 거래는 도서관 열람실 등을 이용하려는 타 대학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한달 3만~5만원 가량을 지불한 뒤 플라스틱 학생증을 일정 기간 대여받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플라스틱 카드 대신 휴대전화에 내려받는 모바일학생증이 일반화되면서, 학생증 거래방식이 ‘바코드’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거래는 간단하다. 모바일학생증 바코드의 스크린샷(Screenshotㆍ스샷)을 찍어 상대방에 전송하는 것으로 끝난다.

실제 온라인 중고거래 사이트 및 각 대학 커뮤니티에는 모바일학생증 ‘바코드’의 스샷을 사고 팔겠다는 글이 최근 몇달사이 수십개에 달한다.

이달 3일 네이버 중고나라 카페에 ‘○○대 학생증 대여해주실분 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에는 “시험준비로 도서관 열람실만 이용할 것이므로 모바일 학생증 바코드만 찍어서 주시면 됩니다”라고 적혀있다.

이런 방식으로 바코드를 사는 데 드는 비용은 보통 5만~10만원 가량으로, 용돈이 궁한 대학생들이 학생증 거래 유혹에 쉽게 빠지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스샷이 수차례 복사돼 퍼지고 있어, 범죄자를 비롯해 누구나 쉽게 원하는 대학의 학생증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외부인이 도서관 등 대학 내 시설에 침입해 물건을 훔치거나 성폭행을 하는 등 대학 불법 침입 범죄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8월 말에는 부산의 한 대학에서 20대 남성이 기숙사에 침입해 여학생을 성폭행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경찰에 따르면 대학에 침입하는 범죄자들은 학생증을 훔치거나 인터넷 등에서 구매하는 식으로 대학 내 건물에 들어갔던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각 대학은 모바일 학생증 발급 안내문을 통해 학생증을 위조 및 복사해 타인에게 넘기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제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서울 한 대학교 관계자는 “모바일 학생증을 복사해 외부인에게 팔더라도 막상 적발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m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