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책> 넥스트 리더십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식어버린 성장 동력으로 인해 저성장의 시대에 진입한 대한민국의 현재 상황은 심각한 사회 양극화 문제 등으로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그러나 독일은 세계 경제위기와 유럽의 재정위기 속에서도 홀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넥스트 리더십(메디치미디어)’의 저자 김택환은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 위에서 분단국가로 시작한 두 나라의 모습이 달라진 이유로 정치 리더십을 꼽는다. 저자는 1983년 독일 본 대학 유학을 시작으로 30년 이상 독일과 인연을 맺어온 독일 전문가다. 저자는 독일의 성공한 8명의 총리와 그렇지 못한 한국의 대통령들의 차이가 두 나라의 현재 모습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독일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건국의 아버지 아데나워 총리부터 현재 메르켈 총리까지 단 한 명도 자신은 물론 자녀와 친인척이 부패ㆍ부정에 연루된 적이 없다. 둘째, 좌우의 기민당과 사민당이 추구하는 정치 가치가 같았다. 양당이 내건 슬로건은 ‘자유ㆍ정의ㆍ연대’로 동일했으며 사회적 시장경제 시스템을 추구하는 것 역시 일치했다. 셋째, 풀뿌리 민주주의에 기초한 권력 분립이다. 넷째, 철저하게 검증된 인물만이 리더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다섯째, 독일 총리들은 항상 국익과 국민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실적을 쌓아갔다.

저자는 한국이 지역, 빈부, 이념 갈등을 치유하고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 구현, 남북 평화통일 등의 과제를 해결하려면 독일의 사례를 참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