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길용 기자〕 중소기업들의 내수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내수 불황인데, 해외에서 활로를 개척하기보다는 안으로 더 움츠려 드는 모습이다. 판로확대를 위한 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4일 발표한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방안 연구보고서’를 보면 중소기업 제품의 국내 판매 비중은 2003년 81.8%에서 2012년 86.0%로 10년 새 4.2%포인트 높아졌다. 이 기간 중소기업 제품 총 판매액은 2.2배 증가했는데 국내 판매는 2.3배, 수출은 1.7배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이 2003년 55.7%에서 2013년 50.6%로 낮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민간소비는 위축되는데, 줄어드는 시장에만 더 매달리는 셈이다.
보고서는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국내 소비자의 해외 직접구매 증가, 저출산 기조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중소기업 매출과 직결되는 중간부품 국산화율은 2005년 78.2%에서 2010년 74.7%로 떨어졌다. 반면 해외 현지생산기업의 비중은 6.7%에서 16.7%로 껑충 뛰었다. 수출용 중간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비중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또 온라인 해외 직접구매는 2011년 560만 건에서 2013년엔 1100만 건으로 2년만에 배 가까이 늘었다. 부품이던 완제품이던 국내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에게는 위협요소다.
상의는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한 방안으로 ‘마케팅 코디네이터 사업’을 제시했다. 제품 기획 단계부터 생산, 해외시장 개척까지의 전 과정에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팔릴 제품을 생산하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제안이다.
정부 차원의 수출 인큐베이터 사업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외에 진출하려는 기업에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회계·법률 컨설팅을 해줘 설립 초기의 위험부담을 덜어주는 것을 말한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중소기업 판로 개척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내수시장에만 크게 의존한 판로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성장에 한계가있을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ky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