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에 꾹꾹 참은 朴, 3ㆍ1절엔?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향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의 역사왜곡 ‘망언 시리즈’에 인내심을 발휘했던 박 대통령이지만, 이번엔 독도ㆍ위안부 문제도 거론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본 우익인사들의 망언수준이 임계치를 넘었다는 판단에서다. 박 대통령은 작년 3ㆍ1절 기념사와 8ㆍ15 광복절 축사 때엔 이들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넘어갔다. 그러나 이후 일본의 역사 왜곡이 중국ㆍ미국까지 불편하게 하면서 역내 안정을 헤치고 있어 박 대통령이 보다 강경한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28일 청와대에 따르면 핵심 참모들은 박 대통령의 이번 3ㆍ1절 기념사에 담을 내용을 놓고 심도있는 논의에 들어갔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을지 확정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입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그간 대 일본 메시지가 원칙론에서 우회비난으로 강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작년 3ㆍ1절 기념사에선 점잖았다.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천년의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는 것”이라며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는 선에서 끝냈다.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한 직후부터는 변화가 나타났다. 박 대통령은 작년 12월 30일 “공동체의 보편적 가치와 이익에 맞는 길을 가지 않으면 결코 일류란 평가를 받을 수 없다”며 완곡한 표현으로 일본은 일류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새해 들어선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그는 지난달 10일 블룸버그와 가진 인터뷰에서 “입장을 바꿔놨을 때 두 나라 관계가 그냥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계속 갈 수 있다고 보입니까. 역지사지로 생각했을 때”라고 했다.

그런데도 박 대통령의 인내를 시험하는 일본 우익인사의 망언은 멈추지 않았다. 한ㆍ일관계 유지의 ‘마지노선’격인 고노담화(1993년ㆍ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인정)에 대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지난 20일 검증 필요성을 제기한 것. 이날 청와대는 대응의 전면에 나서지 않고 외교부가 다음날 새벽 1시께 비판 성명을 냈다.

원칙을 중시하는 박 대통령으로선 고노담화 자체를 부정하는 일본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지난 1월 13일 CNN인터뷰에서 “현재 일본 지도자들도 무라야마 또는 고노담화를 승계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고 진정성을 의심받게 하는 언행을 삼갔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홍성원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