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발이식은 치료적 개념 아닌, 보완의 개념”

 “탈모 완치, 수술에 앞서 조기치료가 중요해” 
  
얼마 전 모 탈모연구 기관에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탈모로 인해 20~30대의 경우 항상 스트레스 받는다고 응답한 환자가 27.8%로 나타나 생각보다 심각했다.  탈모 환자 68.7%는 탈모가 진행되고 1년 이상 시간이 경과한 후 병원을 찾아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통 대머리라고 불리는 남성형 탈모증은 유전적인 요소를 가진 사람에게서 안드로겐 남성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인해 발생한다. 주로 이마 양 옆에서 시작해 이마가 M자 모양으로 넓어지면서 속 머리 즉, 정수리 탈모가 진행되고 머리카락이 가늘고 힘이 없어 쉽게 빠진다.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는 데는 반드시 호르몬이 필요하며 그 중 난소 고환 부신에서 만들어지는 안드로겐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는다. 하지만 모발의 종류에 따라 안드로겐에 대한 반응이 달라 수염 등 다른 털은 자라는데 반해 머리카락은 점점 얇아져 성장이 억제된다. 이후 앞이마 양쪽 부위가 파 들어가는 M자 유형으로 탈모가 진행하게 된다. 

탈모의 진행은 체내 안드로겐 호르몬의 절대적인 양보다 호르몬이 모낭세포에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주느냐에 따라 증세의 심한 정도의 차이가 나게 된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남자의 대머리 유병율 은 60대까지는 백인보다 10∼20% 낮다. 또 이마가 넓어지는 유형보다 정수리 머리가 빠지거나 가르마 부위 두피속이 훤하게 비쳐 보이는 증세는 40대 후반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갱년기 탈모 증세가 2~30대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경종을 울리고 있다. 특히 동양 남성에게 많은 유형인 M자 및 정수리 부분의 탈모증의 원인은 가족력에 의한 유전성 탈모 증세로 진단되며, 2~30대 젊은 층 의 갱년기 탈모 증세는 육류 및 인스턴트 식 음료의 과다 섭취 등 음식문화의 서구화 그리고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에 의한 후천적 요인으로 발병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조기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빠르고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이마 양쪽으로 M자형으로 벗겨지는 탈모증은 초기에는 효과적이지만 이미 이마위쪽 부위로 진행되고 있다면 내분비 치료 등 약물 치료는 효과가 미미하여 모발이식이 유일한 대안 일 수 있다. 하지만, 가족력에 의한 유전성 탈모일 경우 수술 후 에도 꾸준한 내분비 치료가 병행되어야 기존모발 유지와 탈모 예방이 가능하여 재수술 없이 탈모 극복이 가능한 점을 꼭 기억해야 할 것이다.

어떤 질환도 완치를 위해선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탈모 또한 조기치료가 요구되는 질환 이다. 따라서 조기 치료하면 이식 수술 없이도 재생이 가능한 질환이다. 대다수의 탈모인 들은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탈모에서 벗어나고픈 조급한 마음에 무작정 수술을 선호하곤 한다. 하지만 치료과정이 생략된 ‘무작정 수술’은 또 다른 재수술을 부르는 수술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되므로 치료 없는 무작정 수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경계해야 한다고 거듭 지적한다. 

유전성 탈모는 진행성으로 재발이 잦다. 하지만 조기치료 시 모발이식 수술 없이도 완치된 사례가 많은 만큼 치료 없는 섣부른 수술보다 근본적인 조기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이를 무시하고 수술만 강행한다면 이식한 부분은 일정기간 이후 자라 나오겠지만 또 다른 부위의 탈모진행으로 또다시 수술해야 하는 황당한 악순환의 반복을 경험하게 된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 전문의 과정을 거쳐 동 대학 탈모 클리닉 전임 교수 외 naver hidoc 탈모상담 전문의사인 모리치 피부과 오 준규 원장은 탈모의 근본적 치료를 위해선 수술에 앞서 의학적인 치료부터 권하는 의사로 탈모인 들에게 친숙하게 알려져 있다. 특히 제주 부산은 물론 전남 해남 땅 끝 마을 등 전국각지 에서 환자가 쇄도하고 있을 정도로 난치성탈모 질환 치료관련 전문병원으로 인지도가 높다.

탈모는 질환, ‘조기치료’시 “모발이식 수술 없이도 완치 가능해”

오 준규원장은 탈모는 질환이므로 원인 규명과 탈모 부위별 증세에 따라 손상된 두피의 재생을 위한 체계적인 치료 관리만으로도 탈모를 완치시킨 사례가 많은 만큼, 처방에 따른 꾸준히 치료하는 인내가 동반되어야 탈모를 극복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탈모는 치료를 요하는 질환으로 초기치료 여부에 따라 이식 수술 없이도 재생이 가능한 질환이다. 대다수의 탈모인 들은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탈모에서 벗어나고픈 조급한 마음에 무작정 수술을 선호하곤 한다. 하지만 치료 과정이 생략된 ‘무작정 수술’은 또 다른 수술을 부르는 수술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되므로 치료 없는 무작정 수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경계해야 한다고 거듭 지적한다. 

모리치 피부과 오 준규 원장은 "개원 후 13년 동안 모발이식 3500 케이스 이상의 수술 경험과, 난치성질환치료 약 3300 케이스 중 2500건은 모발이식 수술 없이도 완치시킨” 임상경험들은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근거라며, 탈모로 고민하는 대다수는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조급함과 좀 더 빠른 회복을 위한 간절한 마음에 섣부른 수술을 선택하기 쉽게 되지만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옛 속담처럼 부위별 증세와 진단결과에 따라 조기치료 여부에 따라 수술하지 않고도 완치여부가 가름된다며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정환 기자/lee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