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면내시경 급격히 늘어나는데 과연 안전할까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지난해 4월 부산 A대 4학년 황모 씨도 전문병원에서 대장 수면내시경을 받던 중 호흡곤란 증세를 보여 인근 종합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숨졌다. 50대 최모 씨는 지난 2009년 대장 수면내시경을 받은 뒤 30분쯤 지나서 혼자 화장실에 갔다 뒤로 넘어지면서 뇌에 큰 손상을 입어 식물인간이 됐다.

수면내시경은 진정된 상태에서 잠을 자면서 검사를 하기 때문에 검사에 대한 불편함과 공포를 느끼지 않고, 위나 대장 내시경 검사를 편안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다. 중앙대학교 병원이 2011년에서 2013년까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16만4621명을 조사한 결과, 약 40%에 가까운 사람들이 수면내시경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편하고 간단하게 생각하는 수면내시경으로 인해 드물긴 하지만 예상치 못한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곤 한다.

전문가들은 “수면내시경 검사는 진정제나 마취제를 주사한 뒤 진행하기 때문에 마취제의 종류, 다른 질환 유무, 내시경 당시 환자 상황, 응급처치 환경 등 여러 정황을 엄밀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면내시경으로 인한 사고는 수면유도제로 사용하는 미다졸람이나 프로포폴 등의 약물 부작용이나 심장충격기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같은 응급장비 등을 갖추지 못한 경우 주로 발생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별도의 전문 의료진 부재로 위급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못하는 점이다.

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재규 교수는 “내시경 관련 의료 종사자는 모두 응급처치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마취과 전문의가 내시경실에 상주해 내시경 중 발생하는 응급상황 시 즉각적인 처치를 통해 기도 유지와 회복 조치를 보다 전문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취과 전문의는 외래 수면내시경 시 직접 수면유도제 주사를 통해 마취를 시행하고 수면내시경 중 환자의 호흡, 맥박, 혈압, 체온 등 생체징후(바이탈 사인)를 유지시키고 내시경 중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의식을 돌려놓는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안전한 수면내시경을 위해서는 스스로 이런 사항을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응급처치가 가능한 전문 의료진과 충분한 시설이 완비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하고 특히 수면내시경 전 환자의 불안 여부와 통증 민감도를 고려해 수면 여부를 결정한 후에 안전한 모니터링하에서 실시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수면유도제가 간혹 호흡기능 감소 및 심장기능 이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수면내시경은 심폐기능 장애환자 및 급성질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수면내시경 검사가 끝난 후에는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는 병원에 머물러야 하며, 검사 당일은 가능하다면 휴식을 취하고 당일은 운전을 하지 말아야 하며 보호자를 동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면내시경 후 운전은 음주운전보다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뿐 아니라 칼이나 절단기 등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작업도 절대 해서는 안 된다.

또한 소독이 불량한 내시경 기계로 검사받을 경우 B, C형 감염, 에이즈, 결핵 등에 감염될 위험이 있으므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의 소독 세척지침을 준수하는 의료기관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