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 사람> “병을 고치는 건 약 아닌 식단”
‘의사의 반란’ 저자…신우섭 오뚝이의원 원장
항생제 · 스테로이드 등 남용 경계
“흰쌀대신 현미·충분한 소금섭취를”


“교과서엔 없는 얘기라서 환자들이 두려워하는데, 힘들어도 약을 끊고 식단 개선으로 병을 고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지난해 ‘의사의 반란’이란 다소 도발적인 제목의 책으로 의학계에 돌풍을 일으킨 신우섭(44 · 사진) 오뚝이의원 원장은 21일 헤럴드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에선 고혈압, 당뇨 등 대부분의 성인병들은 모두 먹는 것을 고치면서 치유될 수 있는 질환들”이라고 말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의예과에 진학한 그는 대학시절 현대의학을 공부하면서 수많은 병들에 따라붙는 ‘원인은 모른다’는 말에 의구심을 품게 됐다고 한다. 이런 고민이 군의관 복무 때까지 이어졌다. 결국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정확한 원인을 설명해줄 수 없다는 점에 회의를 느끼고 가운을 벗고 벤처 사업가로 전향했다.

신 원장은 “본과 3학년 때 본태성(本態性) 질환이라는 용어를 배우게 됐다”며 “본디 체질적 영향 때문에 병이 발생한다는 뜻이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뭔가 얘기가 안 맞는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중보건의로 일하면서도 명확한 진단 없이 자꾸 다량의 약만 처방하게 됐는데 결국 의사를 그만둔 이유가 됐다”고 했다.

그후 우여곡절 끝에 다시 의료인의 길로 돌아섰고, 대신 연구와 경험을 통해 만병의 원인이 음식에 있고 통증을 포함한 우리 몸의 변화는 스스로를 죽이기보단 살리기 위해 발생된다는 원리를 터득하게 됐다고 한다.

이때부터 약이 아닌 ‘올바른 식사’가 병을 고친다는 확신으로 주사를 놓거나 약을 처방하는 대신 환자들에게 현미ㆍ채식 위주의 식단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실제로 신 원장의 책상 위에는 환자들이 ‘절약(絶藥) 선언’을 하고 두고 간 약봉지가 수북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후 항생제, 스테로이드 같은 것들이 동네 약장사들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됐다”며 “그러면서 어디 아프면 병원부터 찾고 약을 받는 문화가 전통적으로 내려오고 있다”고 꼬집었다.

신 원장은 식단 개선의 최우선 원칙으로 흰쌀 대신 현미를 먹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양면에서 백미보다 월등하기 때문이다. 대신 충분히 씹는 노력이 뒤따르지 않으면 큰 효험이 없다고 한다.

소금에 대해서도 생각이 달랐다. 저염식 조리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충분한 소금을 섭취하지 않으면 소화장애와 저혈당증이 발생된다고 말한다. 그는 “사실 음식에서 나트륨 과잉은 대부분 소금보단 화학첨가물에서 온다”며 “다만 정제염이 아닌 천일염, 죽염 등 좋은 소금을 먹어줘야 소화가 잘 되고 혈당도 유지된다”고 말했다.

신 원장의 진료철학을 담은 저서 ‘의사의 반란’은 지난해 국립중앙도서관이 선정한 인기도서 ‘톱10(생활ㆍ과학 부문)’에서 5위를 차지했다. 그는 현재 ‘약 없는 임상의사회’ 회장도 역임하고 있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