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반도는 물론 국제질서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이 앞서거니 뒤서거니하며 남북통일에 대한 직간접적인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한국, 일본과 남북통일문제를 협의하고 있으며 중국과도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국무원 직속 싱크탱크를 통해 남북통일에 대해 전향적 자세로 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시기적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남북통일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주변국 모두에게 대박이 될 것이라는 ‘통일대박론’과 맞물리면서 미 중이 통일대박론에 화답을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케리 장관의 남북통일 발언은 지난 1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열린 뮌헨 국제안보회의에서 나왔다. 케리 장관은 “미국은 북한에 대해 계속 논의하고 있다”며 “2주 후에는 중국을 방문하는데 북한 이슈를 논의하고, 한국, 일본과 협력하면서 남북통일 문제도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미·일 3국이 이미 남북통일 문제를 협의하고 있으며 조만간 중국과도 논의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 정부 고위당국자가 남북통일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미국이 김정일 사망과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정세에 대해 예사롭지 않게 보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국은 국가 최고 정책자문 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이 최근 공개한 ‘2014년 아시아·태평양 지구 발전 보고서’에서 향후 10년 이내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남북통일, 현상유지, 군사충돌 등 세가지를 꼽으면서 남북통일을 거론했다. 사회과학원은 남북통일 문제가 향후 남북관계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과거 한반도정책에서 북한체제의 안정과 현상유지를 최우선시했던 것과 달라진 대목이다. 사회과학원은 특히 “중국은 북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북한의) 오판을 없애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외교가에서는 케리 장관의 발언이나 사회과학원 보고서에 대해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경계해야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외교소식통은 “케리 장관의 전체 발언을 보면 여러 국제이슈를 나열하면서 통일이 한번 언급된 수준”이라며 “일본과 남북통일 문제를 협의한다는 것도 국민감정상 쉽지 않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중국에서 사회과학원의 위상이 크긴 하지만 보고서 하나만 가지고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변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조만간 있을 케리 장관의 방중 결과 등을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신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