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트홀릭> 잡힐듯 사라져버린…
안갯속에서 형태가 서서히 드러나는 기이한 여자. 사람인지 정령 따위인지 알 길이 없다. 선명하지 않기에 갈증이 난다. 압축과 전치, 은유와 환유. 꿈을 이해하는 두 단계다. 꿈은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기에 본인의 생각이나 경험을 뒤틀어 보여주기도 하지만 전혀 다른 세계로 데려가기도 한다. 꿈은 이성적 사유가 사라진 자의적 공간이다. 그 밑바닥에 잠들었던 질문들이 생물이나 공간의 형태로 작가의 눈앞에 현실로 나타난다. 일어나면 잡힐 듯 사라져버린 이미지가 아쉽기만 하다. 백효훈 작가는 이러한 꿈을 ‘장지(壯紙)’ 위에 옮겼다. 닥 펄프로 만드는 장지는 물감이 번질 때 우연한 효과를 낸다. 비논리적인 꿈에 알맞은 물성이다. 삼청로 갤러리 도스 ‘사적 신화(Private Myths)’전. 2월 5일부터 11일까지. 

백효훈‘예술의 정령-현실세계로’, 장지 위에 혼합재료, 105.5×208.5㎝, 2010.

이한빛 기자/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