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데이타) 오지ㆍ험지 가리지 않던 코트라맨, 결국....안전대책 시급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수출강국 대한민국의 첨병 역할을 해온 코트라(KOTRA)가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오지(奧地)와 험지(險地)도 가리지 않고 달리다보니, 정작 직원들의 안전에는 소홀했기 때문이다. 최근 리비아 무역관 직원의 피랍사건은 수출도 중요하지만, 소중한 인명을 지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함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코트라의 해외무역관은 전세계 82개국에 122개나 된다. 이 가운데 미국이나 중국, 일본 등의 무역관은 인력과 운용 예산이 많은 편이다. 하지만 중동이나 아프리카,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 설치된 무역관은 ‘1인 무역관’으로 운영될 정도로 규모와 예산이 모두 열악하다. ‘1인 무역관’의 수는 전체의 3분의 1이 넘는 44곳이나 된다. 대부분 내전 등으로 정치적인 불안이 고조되는 지역이다. ‘나홀로’이다보니 무역관장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물론 코트라 자체적인 대책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들 지역에 파견되기 전 약 2개월에 걸쳐 코트라와 국정원 등에서 안전교육을 받는다. 현지에서 위기가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매뉴얼도 있다. 이번에 피랍 사건이 발생한 리비아 트리폴리 등 14곳은 특수지 ‘가 등급’이다. ‘가 등급’ 지역은 불안한 치안과 열악한 현지 의료 서비스 등으로 무역관장의 신변이 항상 위험에 노출된 곳이다. 그래서 내전 또는 정치적 위험이 발생하면 항공기 등 긴급 이동수단을 호출하고, 건강에 이상 생겼을 때에는 긴급 이송 서비스를 제공받으라는 내용이다. 또 이들 지역에 파견된 무역관장을 외교부 소속으로 전환해 현지 대사관에서 신속하게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는 장치도 있다.

하지만 헛점도 많다. 특히 발로 뛰어야하는 무역관 업무의 특성상, 이번 사건처럼 무역관 밖에서 발생하는 위협에는 속수무책이다.

A무역관의 관장은 “무역관 직원들이 직접 의뢰기업들의 명함을 들고 다니며 현지 기업들과 납품 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공장 건설이나 물류창고 건설 등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대신 처리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코트라 관계자는 “무장괴한의 습격 등 비상사태 시 대응할 수 있도록 경호업체를 고용해 무역관 시설보안 및 인력 보호 등에 신경을 쓰고 있지만 이동 중 경호 등은 비용 문제가 걸림돌”이라고 토로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