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크리더십> 원칙이 通했다…불통이 痛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은 취임 이후 다소간의 등락은 있었지만,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이는 박 대통령 특유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외치(外治)에서 여러 성과를 내고 있는 데 대한 국민의 평가로 받아들여진다. 공과(功過)는 엄존한다. 신뢰와 원칙을 중시하는 리더십은 좋으나, 권위적이고 폐쇄적인 리더십의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미래를 밝힐 크리에이티브 리더십으로 국가를 이끌려면 ‘받아주는’ 리더십, ‘살피는’ 리더십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결과적으로 소통이 관건이라는 얘기다.

신뢰와 원칙은 박근혜 대통령의 트레이드 마크다. 외교안보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북한의 도발 위협에도 그는 흔들림 없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남ㆍ북 관계 개선을 위해선 일희일비하지 않고 원칙대로 가겠다는 시그널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다. 그는 최근 인도 순방을 앞두고 가진 현지 두르다르샨(DD) TV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나 세계 평화를 위해 핵심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면서 “장성택 처형으로 인해 북한은 예전보다 더 예측불허의 상황이 됐지만 인내심을 갖고 북한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현실화의 전제조건으로 금강산 관광 재개, 한ㆍ미 군사훈련 취소 등을 거론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은 인도적 차원의 이슈와 군사훈련 등 원칙은 분리해서 대응한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역사 문제로 파국 직전까지 온 듯한 한ㆍ일 관계에서도 박 대통령은 단호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는 얼마 전 진행된 CNN 인터뷰에서 “일본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과거사를 부정하는 언행을 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한ㆍ일 관계가 과연 발전해 나갈 수 있겠느냐 그런 것을 우리가 생각해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한국과 입장을 바꿔놨을 때 두 나라 관계가 그냥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계속 갈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역지사지로 생각하셨을 때”라고 인터뷰 진행자에게 되묻기도 했다.

역대 정부에서 계속 실패했던 공기업 개혁을 박 대통령이 ‘비정상의 정상화’ 개혁이라는 키워드로 밀어붙이는 것도 박 대통령 리더십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기업 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가 큰 만큼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강한 리더십은 그러나 내치(內治)에 있어선 적지 않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타협과 견제ㆍ균형이 핵심인 정치의 실종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여당은 거의 대통령의 대리인 역할을 하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과 야당의 관계는 불통에 가깝다. 여당내 역학관계를 따지자면, 박 대통령에 반대하는 세력이 여당에 없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역대 대통령은 여당 내에서도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박 대통령의 지지층은 10~20년 따라다닌 지지층으로, 노무현ㆍ이명박 전 대통령처럼 지지층이 급조된 것과 다르다. 이런 영향으로 박 대통령 지지율 변동이 적고 강한 리더십을 발휘해 성공적으로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이는 경제개선 정도나 지방선거 결과 등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동의ㆍ통합을 이끌어내는 리더십, 이른바 팔로어십이 아쉽다는 지적도 있다. 팔로어십은 애국심, 시민의식을 통해 우러나오는 충성도 정도로 요약된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대통령이 집권 2년차를 맞이하면서 목표를 제시하고 강하게 얘기하는데 국민 대다수가 박 대통령이 제시하는 비전을 따라 가자고 동의하는지 의문”이라며 “민주적 정치공동체에서의 리더십은 팔로어십을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 사회엔 분야별로 분열과 갈등이 심한데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 없는 리더십은 모든 사안에 대해 냉소적으로 평가하는 국민 숫자를 늘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박 대통령이 리더십 측면에서 변화를 주기 위해선 인사정책을 되짚어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윤 교수는 “국민들에게 사회적 통합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결국 인사권인데, 박 대통령은 오히려 인사에서 점수를 많이 까먹었다”며 “인사권은 국민이 대통령에게 위임한 것으로써 자기 마음에 드는 사람만 쓰지 말고 국민이 마음에 드는 사람을 발탁해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성원ㆍ신대원 기자/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