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방법 몰라 안타까웠는데…KT 멘토모집 포스터보자…주저없이 바로 신청했죠
KT ‘드림스쿨’ 재능기부 여대생 서지원씨
재능이 있는데 기회가 없어 꿈을 포기해야만 하는 안타까운 경우를 우리는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한국예술종합대학에서 한국음악 작곡을 공부하는 평범한 스물두 살 여대생이었던 서지원 씨에게도 어느 날 교수님이 들려준 이야기는 그냥 막연히 안타까운 남의 일일 뿐이었다.

“재능이 훌륭했던 친구가 있었는데 당시에는 도움을 줄 수가 없어 안타깝다는 생각만 하셨대요. 그런데 10년이 지나 우연히 만났는데 ‘지금이라도 음악을 해보고 싶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가 왜 그때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을까’ 하고 후회하셨다 하더라고요.”

이런 지원 씨의 눈을 붙잡은 포스터 한 장이 있었다. 재능 기부를 함께할 멘토를 모집한다는 KT ‘드림스쿨’의 포스터였다. 이를 본 지원 씨는 주저 없이 신청했다. 미스유니버시티대회에 참여했던 경험도 큰 힘이 됐다.

지원 씨의 멘티는 고등학교 1학년이 되는 ‘미래의 작곡가’다. 음악이 좋아 K-팝(Pop)을 듣고 틈틈이 가사도 써보곤 하지만 작곡이라는 생소한 분야를 배우기는 쉽지 않았던 한 남학생의 꿈을 지원 씨가 현실로 만들어주게 된 것이다. 


“백지에 많은 것을 넣어주고 싶은 마음에 너무 심하게 다그쳤다가 살짝 후회하기도 했지만 새벽까지 만들었다며 보내온 한 줄 음악을 보면 책임감도 더 커져요.” 지원 씨의 말이다. 이제 한두 번 만났을 뿐이지만 음악 작곡의 기초부터 한국음악만의 멋까지 알려주고 싶은 욕심은 끝이 없다.

교육에 영상회의 시스템을 접목한 KT의 양방향 ‘드림스쿨’ 플랫폼은 훌륭한 도구다. 물리적 한계, 그리고 공간과 시간의 문제는 첨단 통신기술 앞에선 더는 장벽이 아니다.

작곡의 기초인 청음 콘텐츠를 주고받고 숙제도 내주며 때로는 따끔하게 야단도 치는 지원 씨도 ‘IT를 통한 음악 교육’이라는 새로운 시도에 기대가 크다. “전공하는 학생끼리도 서로 녹음한 청음 파일을 주고받으며 공부하곤 해요. 제가 가르치며 만든 것들이 드림스쿨 홈페이지에 쌓이고, 또 다른 누군가가 이걸 보고 음악의 꿈을 키운다면 더 좋겠죠.” KT가 드림스쿨을 기획하며 목표로 했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이 이제는 꿈이 아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