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00억 과징금보다 더 달콤한 130만 휴대폰 고객 쟁탈전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전쟁은 새해에도 뜨거웠다. 정부의 1000억원 과징금을 비웃으며 너도나도 뛰어든 ‘공짜 폰’ 살포전에 하루 최고 8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새해 벽두부터 100만원짜리 스마트폰을 서슴없이 새로 샀다. 이 기세라면 이번 달 번호이동 숫자는 ‘17만원 갤럭시S4’ 쇼크가 있었던 지난 10월의 99만 1129명도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9일 이통 3사와 정부당국에 따르면 이번달 1~7일중 휴대전화 번호이동 가입자 수는 26만4404명을 기록했다. 1일 신정과 주말 4, 5일을 감안하면 하루평균 6만6101명이 번호이동을 한 셈이다. 여기에 신정과 설 연휴, 주말 등을 뺀 1월 영업일수 20일을 곱하면, 이번달 번호이동은 132만2020여 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7만원 갤럭시S4’ 특수가 있었던 지난해 10월의 99만1129건은 물론, 공짜폰이 흔했던 지난해 1월 100만8784건도 가볍게 뛰어넘을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이통 3사에 연말 크리스마스때 안긴 1000억 원의 과징금보다도 100만에 달하는 고객 쟁탈전의 열매가 더욱 달콤하기 때문이다. 연초 보조금 전쟁에 대해 SK텔레콤과 KT측은 LG유플러스가 영업정지가 빠진 과징금 소식이 나온 순간 보조금을 대거 풀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측은 선두 주자들이 앞선 정보력으로 발표 직전 보조금을 살포하고 빠진 결과 어쩔 수 없이 방어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변명했지만, 새해에도 한층 강력해진 보조금 정책이 계속되고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객 한명 당 매달 4만원을 넘는 돈을 받을 수 있는 4G 가입자가 영업정지라는 강력한 제재 수단이 빠진 정부 조치보다 더욱 유혹적”이라며 “이 과정에서 새해 보조금 전쟁에 누가 불을 질렀는지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1000억 원 과징금 발표 직후, 이례적으로 두 차례나 각 사 임원들을 소집한 방통위의 구두경고 역시 마찬가지다. 이 관계자는 “담당자들끼리야 ‘이제 그만하는게 좋겠다’고 서로 말하지만, 한 명의 가입자, 1%의 점유율이 아쉬운 회사로 돌아가면 잊혀지기 일쑤”라며 보조금 전쟁은 결코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실제 최근 업계에서는 ‘변종 보조금’까지 등장했다. 정부의 반복되는 경고에 과거와 같은 무차별 보조금 살포 대신, 지역별ㆍ이통사별 타겟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한 것이다.

휴대전화 보조금의 결정판 격인 인터넷 카페에 최근 특정 통신사 가입자를 겨냥한 번호이동 조건들이 범람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네이버의 한 카페에는 ‘XXX 가입자만’ 이라는 조건을 단 2년약정 할부원금 0원의 ‘공짜폰’이 등장했다. 보통 이전 통신사와 상관없이 ‘번호이동 고객’을 대상으로 동일 조건을 제시하거나, 상대적으로 충성도가 약한 별정통신 가입자만 차별했던 지난 연말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또 같은 단말기라도 지역별로 차등 지급하는 사례도 부쩍 늘었다. 연말연초 특수를 겨냥한 보조금이 대구ㆍ경북ㆍ부산에 집중 살포됐다는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번호이동에 소극적인 경상남북도 지역 가입자들이 번호이동 시장의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며 “이 지역 고객들은 높은 사용요금을 기록하면서도 한 번 가입하면 좀처럼 통신사를 바꾸지 않는 특성이 매력”이라고 전했다. 그러다보니 일부 타 지역 고객들이 KTX를 타고 대구나 부산까지 원정가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