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상주 부산시의원 “교육국제화 정책 필요성” 주장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부산에서 조성할 계획인 인재육성기금을 교육국제화 사업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황상주 교육위원은 7일 열린 ‘부산광역시 인재육성기금 1조원 조성 정책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황 의원은 “부산 발전을 위해서는 인재양성이 중요하며 어렵게 양성된 인재의 역외유출 방지 역시 중요한 과제이므로 이를 위해 부산만의 특색을 살린 전략산업을 발굴, 육성하고, 인재양성을 위한 기금조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금이 학교교육재정의 보조적 재원이 아니라 부산의 인재양성차원에서 부산시가 해야 할 역할에 사용되어야 한다”며 “기업이나 대학, 각종 R&D시설 등과도 긴밀히 연계되어 광속도적 사회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몇몇 유망산업을 선정해 이를 중점 육성하는 방식에는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특정산업에 교육과 투자를 집중하는 것은 그만큼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기금운용사업이 그 자체로써 새로운 산업이 되어 이익을 창출하고다시 인재양성기금으로 재투자될 수 있는 선순환구조로 기금이 운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이같은 이유를 들어 황 의원은 세계의 관문이 될 만한 부산의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할 때, 교육국제화 사업에 기금을 투자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 대한 세계적 이미지가 그 어느 때보다 좋기 때문에 이 시기에 교육국제화를 부산의 신성장동력으로 삼는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이 내세운 교육국제화 사업은 국제화 관련 기존시설 외에 각종 R&D시설의 유치와 부산의 가능한 모든 산업분야에 국제교류 교육프로그램을 접목시키는 일이다. 예를 들면, 해양산업이나 기계융합부품산업과 같은 본격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도시농업 등의 부차적 산업, 그리고 전통무예와 같은 문화체육사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국제교류용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실현시킬 인적ㆍ물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황 의원은 외국인에 대한 교육기관의 다양화에도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현재 다문화교육이라는 형태로 출신국가 구분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인교육시설을 각 국가별 교육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자녀교육을 본국의 교과과정에 맞추어 교육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다.

황 의원은 “현재 부산에 위치한 러시아인정학교와 같이 외국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을 늘려 부산을 명실상부한 교육국제화 도시로 만들어야 한다”며 “외국의 고급인력들이 부산에 정주할 수 있는 교육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