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 ‘스마트홈’ 사업 상반기 출시…첫 무대는 ‘CES 2014’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 삼성전자가 가전기기와 IT기기를 연결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올 해 상반기 본격 출시한다. 삼성전자 스마트홈 서비스는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2014 CES’에서 첫 선을 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TVㆍ냉장고ㆍ세탁기 등 집안의 가전기기에다 스마트폰 같은 IT기기를 연동해 사용하는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를 올 상반기 본격적으로 제공한다고 5일 밝혔다. 이에 앞서 ‘2014 CES’에서 ‘Smart Living & Beyond(스마트한 삶, 그 이상의 가치)’라는 슬로건과 함께 브랜드, 로고 등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의 내용을 소개할 계획이다.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4 에서 삼성전자가 선보일 삼성 스마트홈 서비스. [사진=삼성전자]

‘삼성 스마트홈’은 생활가전과 스마트TV를 스마트폰, 태블릿PC는 물론 웨어러블기기인 갤럭시기어까지 통합플랫폼과 전용서버로 묶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집안의 모든 기기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퇴근할 때 집에 도착하기 전 집안의 에어컨이나 조명을 스마트폰이나 갤럭시기어로 미리 켤 수 있고, 잠자리에 들기 전 리모컨에 대고 ‘굿나잇’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 TV, 에어컨, 조명 등을 끌 수도 있다. 해외 출장 중에도 인터넷을 이용해 집안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오랫동안 집을 비울 때 가전제품 등에 내장된 카메라가 촬영해서 보내는영상을 스마트폰으로 보면서 집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홈뷰(Home View)’서비스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2014년형 전략 가전제품과 스마트TV,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상반기 중 ‘삼성 스마트홈’을 출시하고, 단계적으로 기능과 대상 품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기들을 연결하는 표준규격인 ‘스마트홈프로토콜(SHPㆍSmart Home Protocol)’을 개발해 타 업체 제품과 안드로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운영체제(OS)를 아우를 수 있는 개방형 스마트홈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건설, 에너지, 의료 분야의 협력사들과 손잡고 새로운 사업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홍원표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MSC) 사장은 “지난해 중반 사내역량을 총집결한 ‘스마트홈 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삼성 스마트홈’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또 하나의 혁신이 될 수 있게 꾸준히 준비해왔다”고 말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