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조만간 당국은 물론 민간까지 포함한 경제협력과 사회문화 교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개성공단 폐쇄와 재가동으로 극심한 부침을 겪었던 남북관계가 새해 들어 심상치 않은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북남 사이 관계개선을 위한 분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손을 내민 것이 단초가 됐다.

김정은의 신년사에 담긴 남북대화 촉구 메시지는 이례적이다. 김 제1위원장은 백해무익한 비방과 중상을 끝내자면서 통일을 바라는 사람이라면 과거를 불문하고 함께 나갈 것이라며 남한 당국의 호응을 촉구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3일 “북한에서 절대존엄이라고 하는 김정은이 직접 말한 만큼 무게감이 실렸다고 봐야 한다”며 “북한으로서는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 경제재건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긴장을 낮추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화해 제스처에 대한 정부의 입장도 우호적인 분위기다. 애초 정부는 김정은의 신년사에 대해 “화전양면 전술을 구사할 가능성이 있다”(김관진 국방), “남북대화 제의로 볼 수 없다”(류길재 통일)고 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평화시대를 열어가는 데 더 많은 노력을 하겠다고 밝힌 이후 변화의 기류가 감지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조만간 본격적인 대화를 제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1월 중순께 차관급이나 분야별 실무회담 등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할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관계개선을 들고 나왔을 때 우리도 신중한 모양새 취하면서 받아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도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시작되는 3월 이전에 남북관계 개선 움직임이 가시화할 수 있다”면서 “북한이 지난해 9월 합의했던 정신으로 돌아가자면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제안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신대원ㆍ원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