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잠자는 원전 3기 가동이 관건
1월 넷째주 전력피크 ‘비상’
정부, 선택형 피크요금제 확대



올겨울 예상되는 최대 전력수요는 지난 겨울철 대비 200만㎾ 이상 증가한 8050만㎾ 수준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현재 케이블 교체작업으로 가동중단된 원전 3기의 연내 재가동이 안될 경우 공급능력은 8295만㎾에 불과해 예상 예비력은 200만㎾대일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선택형 피크요금제(CPP)를 확대하고 민간의 자가발전기를 최대한 가동시키는 등 전력 수급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겨울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보고했다. 산업부는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를 앞두고 조업수요가 가장 높은 1월 넷째주에 전력피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특히 조업률이 높고 한파 누적 효과가 큰 목요일이나 휴일 이후 난방수요가 많은 월요일이 위험하다는 분석이다. 전력피크가 발생하는 시간은 오전 10~12시다. 이를 종합하면 오는 1월 23일 오전 전력피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산업부는 최대전력수요가 지난 여름철 8008만㎾보다 소폭 증가한 8050만㎾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 겨울 대비 최저기온 상승이 예상되는데다 전기요금 인상 효과도 기대하는 눈치다. 전력공급 능력은 지난 겨울 대비 550만㎾ 이상 늘어난 8295만㎾다. 신고리 1, 2호기와 신월성 1호기가 연내 가동되지 않는 전제다.

김준동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가장 시급한 조치는 정지 중인 원전 3기를 조속히 가동시키는 것”이라며 현재 케이블 교체 등 후속조치가 마무리 단계”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겨울 지난해부터 시행해온 CPP를 확대한다. 1월과 2월중 피크일을 약 10일 지정하고 비피크일 및 경부하 시간대는 전기요금을 약 30% 할인해주고 피크일과 중간ㆍ최대부하 시간대는 최대 4배까지 할증하는 제도다. 이같은 수요관리로 최대 250만㎾의 전기를 감축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내년 상반기 준공예정인 양주열병합과 안동복합 등 화력발전기의 시운전 출력도 최대한 활용(40만㎾)하고 민간 자가 상용발전기 22대도 최대한 가동(40만㎾)시킨다.

비상 상황에는 전압 하향조정(120만㎾), 공공기관 보유 비상발전기 가동(10만㎾), 열병합 발전기 전기모드 운전(30만㎾)등으로 약 400만㎾ 이상의 전기를 절약한다는 계획이다.

윤정식 기자/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