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성택 처형, 최룡해의 2인자 등극...‘김정일의 유훈’ 때문에?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장성택 전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처형과 최룡해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의 2인자 등극 등 최근 북한의 권력재편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전 유언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8일 대북 소식통 등에 따르면 김정일은 생전 최룡해를 불러 당시 후계자 신분이던 김정은의 손을 직접 잡아주면서 아들을 잘 보좌할 것을 지시했다. 북한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이와관련 “김정일이 김정은에게 ‘최룡해를 아저씨처럼 여기고 의지하라’고까지 말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한 정부 소식통도 “최룡해가 장성택의 사람이라는 점은 틀림없지만 그가 총정치국장이 되고 나서 둘의 사이가 점점 멀어지고 서로 견제를 했다는 얘기가 많이 들린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최룡해가 대장이 되기 전 군 고위층 내부에서 인맥을 쌓고, 군사 지식을 익힐 수 있게 김정일의 지시로 고급 장교 양성 기관인 김일성종합군사대학에 다녔다는 얘기도 있다”고 전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도 “2010년 최룡해를 군 대장으로 임명했을 당시 이미 그를 김정은 시대 군 총정치국장으로 세우려는 구상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며 “최룡해가 김정일 위원장의 총애를 받은 것이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장성택의 사람’으로서 승승장구한 것으로 알려진 최룡해가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군 최고 실력자가 된 것이 김정일의 ‘유지’에 따른 것이라는 말이다.

이와함께 김 제1위원장이 장성택을 숙청한 것도 김정일이 남긴 ‘유훈’에 따른 예고된 수순이었음이 확인됐다.

이윤걸 북한전략정보서비스센터 대표는 이와관련 “김정일의 10월 8일 유훈과 북한이 이번에 장성택 숙청 사실을 공개한 당 중앙위 정치국 확대회의 결정서 내용을 보면 놀랄 정도로 유사하다”며 “김정일이 명시적으로 지목하지만 않았을 뿐이지 장성택을 염두에 두고 종파를 주의하라고 경고한 것”이라고 말했다.

10월 8일 유훈으로 알려진 내용에서는 종파와 관련해 “우리 당 역사에서 종파는 항상 있어 왔으며 그놈들은 언제나 국가가 어려울 때 머리를 쳐들어 당의 분열을 꾀하곤 했다”며 “지금의 종파는 이전과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경계했다. 김정일은 또 “이전에 끼리끼리 무리를 지어 당에 정면으로 도전했다면 지금은 교활한 방법으로 뒤에서 동상이몽하면서 때를 기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장성택 숙청 결정서에서 “장성택은 앞에서는 당과 수령을 받드는 척하고 뒤에 돌아앉아서는 동상이몽, 양봉음위하는 종파적 행위를 일삼았다”고 지적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특히 북한 매체에서도 자주 등장하지 않는 ‘보는 앞에서는 순종하는 척하고, 속으로는 딴마음을 먹는다’는 뜻의 양봉음위(陽奉陰違)와 동상이몽(同床異夢)은 완전히 일치하는 내용이다.

이 대표는 “김정일은 유훈에서 김경희와 장성택을 함께 묶어 언급했는데, 이는 곧 김경희가 사망하거나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장성택을 내치라는 의미”라며 “김경희가 공개석상에 자주 나오지 못하는 등 건강이 예전 같지 못해지면서 김정일의 유훈에 따라 장성택을 숙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