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만 보는 ‘외눈박이 거인’ 與
대선 1년…새누리·민주당 현재의 모습은
민생법안 처리 속도 지지부진
당 안팎선 불만·우려 목소리뿐
그나마 높은 지지율에 위안




새누리당의 고공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2년 전 서울 무상급식 찬반투표, 서울시장 보궐선거 등 한나라당 시절의 악몽은 이제 옛날 이야기가 됐다. 총선 과반 확보, 득표율 50%를 넘은 대통령 배출, 보궐선거까지 연승을 계속했다. 그러나 요즘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이런저런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히 흘러나온다. 불안한 경제상황, 지지부진한 민생법안 처리 속도, 참신한 새 얼굴의 부재 등 뭐 하나 깔끔한 것이 없다는 비판이다. ‘원하는 카드를 주고, 또 원하는 카드를 받아와야 하는’ 협상이 되지 않으니,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법안 처리 하나도 힘들기만 할 뿐이다.

새누리당이 그나마 국정운영에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자부심은 높은 지지율이다. 48.8%로 2위 민주당과 격차는 2배가 넘는다. 안철수 의원이 신당을 창당해도 43.9%로 지지율은 부동의 1위다. 리얼미터가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전국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임의번호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율 조사 결과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

그런데 이 같은 높은 지지율의 실체는 새누리당이 집권여당의 역할을 제대로 해서 얻은 게 아니라 야당의 헛발질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새누리당이 잘해서가 아니라 민주당이 너무 못해서 얻는 반사이익”이라고 말할 정도다. 수도권 출신 한 초선 의원은 “보수를 대표하는 유일한 당에 대한 공고한 지지가 기본이고, 여기에 정국 불안감을 배증시키고 있는 야당의 불안한 모습이 더해진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야당의 헛발질 외에 기댈 곳이 없게 만든 건 새누리당 자신이다. 집권 1년차라는 이유로 청와대에 모든 결정 권한을 넘겨준 당의 현주소는 ‘무기력’ 그 자체다. 청와대의 고집 앞에서도 탈당까지 불사한 소장파의 단식과 저항, 조언으로 여야 합의문을 3차례나 만들었던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국회비준 때의 패기와 활력은 좀처럼 찾아볼 수 없다.

특정 계파의 독주도 무기력증의 원인이다. 당 대표는 대통령과 조금 먼 ‘원박(遠朴)’, 대표를 둘러싼 원내대표와 사무총장 등 대부분 당직자는 자칭 ‘친박(親朴) 중의 친박’이다.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하고 때로는 국민들의 시선에서 반대 행동도 할 수 있는 비판 세력이 없다. 그나마 ‘비박(非朴)’이라 부를 만한 중진, 소장파들은 잔뜩 몸을 움츠린 형국이다. 독주는 독단을 낳기도 했다. 꽉 막힌 정국을 풀려면 야당이 받을 만한 카드를 던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강경파에 의해 무시당하기 일쑤다. 대선 꼭 1년이 지난 18일에도 청와대 주문을 이행하라는 대야권 압박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