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황식 생가 복원 해프닝’, 비난 여론에 제동걸리나
[헤럴드 생생뉴스]전남 장성군이 혈세를 들여 김황식 전 총리의 생가를 복원하려다 제동이 걸렸다.

예산을 들여 특정 인물의 생가를 복원하는 것이 온당치 않다는 비판여론이 거센데다 당사자도 반대의사를 밝히는 등 무리한 추진에 대한 비난이 거세다. 더욱이 장성군이 당사자에게 의향을 묻지도 않고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7일 장성군에 따르면 군의회는 최근 황룡면 원황룡마을에 있는 김 전 총리 생가를 복원하기 위한 예산 2억원을 통과시켰다.

장성군은 1억원은 생가 부지(1320㎡) 구입에, 나머지는 전시관을 만드는 데 쓸 예정이다. 이 집은 1948년 김 전 총리가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1950년대부터 다른 사람이 살고 있다.

전국 지자체와 기관을 대상으로 청렴 교육을 하는 장성군은 김 전 총리의 생가를 복원해 청렴교육의 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문을 연 청렴문화센터에는 김 전 총리가 재직 시절 사용하던 필기구와 옷가지 등 집기가 전시돼 있다.

장성군의 한 관계자는 “청렴 교육에 참가한 교육생들이 김 전 총리의 생가를 방문하고 나서 버려두고 있다는 지적이 많아 복원 계획을 세웠다”며 “본래 예산은 3억원이었는데 예산이 삭감돼 의회와 추후 협의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상당수 군민들은 “생존해 있는 인물의 생가를 군민의 혈세를 들여 복원하는 것이 과연 옳은지 의문”이라며 “타당성 등을 고려해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반대 여론이 확산되자 김 전 총리는 이날 김양수 군수에게 전화를 걸어 생가 복원에 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장성군은 군의회와 협의해 앞으로 사업 방향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계획이다.

장성군의 한 관계자는 “청렴문화 체험교육의 한 코스로 김 전 총리의 생가 방문 프로그램이 있는데 생가 주변이 방치돼 전시관으로 정비하는 목적으로 사업을 계획했다”며 “일종의 주변 정비 사업인데 생가 복원이라는 거창한 이름으로 다소 와전된 것 같다”고 해명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