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기의 북항 컨테이너 물동량 추락, 부두기능 재편 추진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부산 신항으로 컨테이너 물동량 집중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북항 컨테이너 항만들의 부두기능 재편 문제가 시급한 문제도 떠오르고 있다.

12일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처음 신항의 물동량이 북항을 앞지른데 이어, 올해에는 물동량 역전 폭이 더욱 커져 신항의 물동량이 연말까지 61%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항만공사가 올들어 1월부터 10월까지 부두별 물동량 처리실적을 분석한 결과 부산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총 물동량 1464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 가운데 신항 실적이 902만 TEU(61.6%)로 60%를 훌쩍 넘겼다. 북항은 562만 TEU(38.4%)를 처리해 40%대 이하로 추락했다.

이같은 물동량 이동추세는 지난 2006년 신항의 개장 이후, 계속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2007년 4.4%대에 머물렀던 신항의 물동량은 2008년들어 11.7%로 급증했으며, 2009년에 22.5%, 2010년에는 38.6%, 2011년 47.9%까지 뛰어올랐다. 지난해인 2012년에는 처음으로 북항을 추월해 55.4%를 기록하기도 했다.

신항으로의 물동량 쏠림현상이 가속화되자 부산지역에서는 몰락하고 있는 부산항 북항 컨테이너부두의 기능 재편 문제가 최근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북항에 어떤 기능을 담을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해양경제특구 지정을 추진 중인 부산시는 북항의 핵심 기능으로 ‘해양플랜트 산업’을 내세우고 있는 반면,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항만을 이제는 산업공간이 아닌 ‘관광 거점’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연내 해양경제특구법 발의를 목표로 하고 있는 부산시와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은 기존 부두의 안벽을 산업공간으로 재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막대한 국가 예산을 들여 만든 부두시설을 당장 없애고 재개발하기보다는 일정 시간 동안 안벽을 필요로 하는 산업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논리이다. 안벽을 활용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산업으로 해양플랜트 산업이 꼽고 있다. 부산시는 북항의 자성대부두, 우암부두 등을 산업공간으로 바꿔 국내외 해양플랜트 모듈 기업을 유치한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북항재개발 지역과 연계해 세계적 관광 거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경제특구가 아닌 관광특구로 지정해 관광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북항재개발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에 참여 중인 한 교수는 “도심 한가운데 해양플랜트 산업단지라니 뜬금 없다”며 “관광도 해양산업의 주요 부분인 만큼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관광 기능을 활용하는 게 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시와 함께 해양경제특구법 제정을 추진 중인 해수부 내에서도 부서 간 의견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법안 제정을 추진 중인 해운물류국과는 달리 항만 건설과 재개발 업무를 맡고 있는 항만국에서는 해양경제특구 계획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