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시위대 무력 진압’ 우크라 제재 검토
자산동결 · 여행제한 등 가능성
미국이 반정부 시위대를 탄압한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해 제재를 검토하고 나서면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젠 사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반정부 시위대 강경 진압에 나선 우크라이나 정부를 상대로 제재 등 모든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며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생각 중”이라고 밝혔다.

과거 미국은 폭압적 정권에 대해 자산 동결이나 고위 공직자 여행 제한 등의 제재를 가한 바 있다.

백악관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끔찍한 충격을 받았다”며 우려를 표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2주간 우크라이나 정부가 평화적 시위에 대응한 방식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고 화해의 기회로 향한 길을 선택해 갈등을 평화롭게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평화적 시위를 민주적 권리로 존중하지 않고 특수부대와 불도저, 곤봉으로 대응한 우크라이나 당국의 조치에 미 정부는 혐오감을 표시한다”며 비판했다.

이날 시위대를 찾은 빅토리아 뉼런드 미 국무부 유럽차관보는 “지난밤 이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확실히 알았다”며 “민주적 유럽 국가에서는 절대로 용인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반응은 이날 새벽부터 우크라이나 특수부대가 바리케이드 철거를 강행해 부상자가 속출한 데 따른 것이다.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평화시위에 무력으로 대응하지 않겠다”면서 “정계와 종교계, 사회 인사 등이 모여 거국적인 대화를 하자”고 제안했다. 

김현경 기자/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