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T경제경영연구소, 2014년 ICT 10대 이슈 발표...알뜰폰과 모바일메신저가 주요 이슈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 다가오는 새해에는 스마트폰 및 LTE 확산 속도는 둔화되지만 알뜰폰 시장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메신저의 글로벌 플랫폼 경쟁도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10일 국내 ICT 산업의 주요 이슈를 선정, 2014년 관전포인트를 제시하는 ‘2014년 ICT 10대 주목이슈’ 특집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이 밝혔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ICT 산업을 통신, 미디어 및 포털, IT 서비스 및 제조, IT 연계 비즈니스의 4개 분야로 분류하고 총 10가지의 주요 이슈를 선정했다. 10대 주요 이슈는 ▷알뜰폰 ▷IoT(사물인터넷) ▷OTT(Over-The-Top) ▷모바일메신저 ▷모바일광고 ▷웨어러블단말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 ▷모바일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빅데이터 ▷모바일 커머스를 골자로 한다. 


보고서는 우선 “통신 분야에서는 스마트폰 및 LTE 확산 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알뜰폰(MVNO) 시장의 활성화 가능성, 창조경제 정책 지원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 대상”이라고 밝혔다. 또 “미디어 및 포털 분야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한 OTT(Over-The-Top) 서비스 이용의 확산, 모바일 메신저의 글로벌 플랫폼 경쟁, 모바일 광고 시장의 다변화된 광고 기법 등이 주요 이슈”라고 말했다.

IT서비스 및 제조분야에서는 최근 신성장 동력 발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포스트 스마트폰 단말로서 웨어러블 기기의 안착 가능성에 주목해야 하며, 모바일 비즈니스 환경시장의 확대 여부, 모바일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IT연계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아직은 실질적인 성과가 미흡하지만 빅데이터 시장이 본격화될 것인지 여부와 모바일을 넘어 오프라인까지 연계되고 있는 모바일 커머스 발전 가능성에 대해 집중 연구했다. 


보고서는 “한국은 선진국에 비해 스마트폰이 뒤늦게 도입됐고, 그간 국내 ICT 산업의 주요 관심사는 구글, 애플 등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였다”며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 보급률이 줄어들고 있는만큼 이제 한국은 세계 최초로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의 경쟁구도, 사업전략 등 변화방향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