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극항로 경유 선박에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 내년부터 북극 항로를 경유해 국내 항만에 입출항하는 선박에 대해 항만시설 사용료를 감면해준다. 또 북극 연구 지원을 위해 두번째 쇄빙선 건조를 검토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0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북극정책 기본계획’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정부는 북극해 항로 상용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북극항로를 거쳐 국내항만을 이용하는 선박 및 화물 유치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북극항로 경유 선박의 항만시설 사용료를 깎아주고 선사가 일정 물량이상의 환적화물을 처리할 경우 사용료를 감면해 주는 볼륨 인센티브제도(Volume Incentive)를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또 북극항로 상에 있는 러시아 주요 항만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추진하고 북극항로 통과화물 증가에 대비한 국내 항만 재정비 계획을 수립한다.

정부는 북극해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해양플랜트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을 위해 250억원을 들여 경남 거제시에 ‘해양플랜트 산업지원센터’를 내년에 착공한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중인 북극에 대한 과학조사 참여를 위해 아라온 호에 이은 제2 쇄빙연구선 건조 타당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북극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이상기후 예측능력 연구 사업을 확대하고 북극권 공간정보 구축 및 연안국과의 수로분야 협력을 내년부터 2018년까지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내년 상반기 중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 국가에 ‘북극정책 협의체’ 구성을 제안해 공동 관심분야에 대한 협력도 모색할 계획이다. 지난 1993년에 가입한 북대서양수산기구(NAFO)에서의 활동을 강화하고, 북동대서양어업위원회(NEAFC) 등의 가입을 추진하는 등 북극해 연안국과의 협력 범위도 넓힐 방침이다.

문해남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북극권 지역은 연안국의 관할권이 미치는 곳이기 때문에 국제사회에 한국이 북극의 현재와 미래의 책무를 공유하는 국가라고 평가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극지분야에서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