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퇴진” 요구에 급속악화
CDS프리미엄 1068bp로 급등
정부부채도 압박…디폴트 위험
반(反)정부 시위로 몸살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가 엎친데 덮친격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과 현정부의 친러 정책 등에 대한 반발 시위가 격화되면서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등 경제 상황이 급속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3월 5%대 이하에 머물던 우크라이나의 내년 6월 만기 고위험 국채 금리는 2일(현지시간) 하루동안 2.74%포인트(274bp) 급등해 19.34%를 기록했다.
신용부도스와프(CDS)프리미엄(가산금리)은 100bp가까이 오른 1068bp를 기록했다. CDS는 신용을 사고 파는 신용파생상품으로 디폴트에 대비한 보험 성격이 짙다. 금리가 높을 수록 디폴트 위험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정세가 악화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한 심리와 함께 국채 매도세와 상환 요구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정부 부채 압박도 디폴트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부채 비율은 2011년 36.8%(4794억그리브나)에서 해마다 상승해 올해 42.8%(6112억그리브나)로 증가했다. 내년엔 48.1%(7154억그리브나), 2015년엔 51.4%(8134억그리브나)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FT는 지난 2001년 아르헨티나가 디폴트를 선언하던 당시 국가 채무 비율이 GDP의 50%에 달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2015년엔 우크라이나도 비슷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상수지 적자도 심각한 수준이다. 우크라이나의 경상수지 적자는 128억달러(약 13조5600억원)로 GDP의 7.3%에 달하며 내년엔 7.4%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MF는 경제구조를 개혁하지 않는 한 2018년까지 7%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까닭에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우크라이나를 투자부적격 수준인 ‘정크’ 등급을 매기고 있다. 무디스는 지난 9월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을 ‘B3’에서 ‘Caa1’로 강등한 바 있으며 스탠더드앤푸어스(S&P)와 피치도 ‘B-’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시위대 35만명이 거리에 나서면서 2004년 ‘오렌지 혁명’ 이후 최대의 반정부 집회로 집권이래 최고의 위기에 봉착한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민심을 달래고자 이날 호세 바호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경제협력 협정과 관련한 재협상을 요청했다. 이는 EU와의 협정 협상을 재추진하겠다는 움직임을 국민에게 보여준 것이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