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형발사체 1년3개월 앞당겨 2020년 6월 발사
달 탐사도 추진…2020년 달 궤도선·달 착륙선 자력 발사

미래부, 국가우주위원회 개최…우주분야 주요계획 수립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우리 기술로 제작한 한국형발사체가 애초 계획보다 1년 3개월 빠른 2020년 6월 발사된다. 또 이 발사체를 활용해 달과 화성, 소행성, 심우주 탐사가 추진되며 중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 독자 개발에도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6일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제6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안 ▷우주기술산업화 전략안 ▷한국형발사체 개발계획 수정안 등 우주분야 3개 주요 계획을 수립했다.

▶한국형 발사체ㆍ달 궤도선 2020년 발사=세계적인 우주개발 경쟁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발사체의 첫 발사시기가 앞당겨진다. 미래부는 2020년 6월까지 한국형발사체를 우리 기술로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2021년 9월이었던 당초 목표 시점을 1년3개월 단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2017년 12월 시험발사를 거쳐 2020년 6월에 나로과학위성(100㎏)보다 더 큰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진입시킬 수 있는 한국형 발사체를 쏘아 올린다.

또 한국형 발사체를 활용한 달 탐사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 한국형발사체를 발사한 이후 해당연도 내 이를 이용해 달 궤도선과 달 착륙선을 자력 발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상목 미래부 제1차관은 “자력 달 탐사 성공은 우주기술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의미함과 동시에 국격 제고를 통해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제 협력을 통해 화성, 소행성, 심우주 탐사를 추진하고 최근 빈번한 우주물체 추락 등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우주감시시스템 구축도 병행한다.

▶위성 개발 박차…위성정보활용시스템 구축=발사체와 함께 위성 개발도 박차를 가한다. 국가의 전략적 수요에 따라 초정밀 관측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공공안전과 국토ㆍ자원관리를 위한 0.5m 이하급 광학카메라 탑재체와 전천후 상시 관측이 가능한 고성능 레이더 탑재체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다.

공공ㆍ민간 분야에서의 위성 수요 증가와 세계 위성 제작 시장 진출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개발도 새롭게 추진한다. 기상관측, 해양ㆍ환경감시, 항법시스템 구축, 위성통신ㆍ방송서비스 제공 등 활용영역과 임무범위가 넓은 중궤도와 정지궤도위성 개발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또 이러한 위성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할 수 있도록 위성정보 활용 시스템을 구축한다. ‘다가가는 위성정보 활용시스템’이라는 이름의 이 위성은 실시간 기상정보 분석, 해양오염 감시, 농경물 작황 파악,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 해상 물류관리 등의 국민 생활과 관련이 큰 위성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7년까지 우주산업 3배 확대…일자리 4500개 창출=미래부는 한국형 발사체와 달 궤도선ㆍ착륙선 발사, 위성 개발 등의 사업을 시발점으로 국내 우주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미래부는 국가 중장기 우주개발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해 민간의 개발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리고 우리 기업이 생산한 우주 제품의 수출을 지원해 우주산업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한다는 안을 세우고 이러한 내용의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을 마련했다.

미래부는 이 전략안에 따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보유 기술 이전과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산업체의 역량을 제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체가 우주개발을 주도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 위성 정보의 산업적 활용을 확대하고, 우주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도록 후방 지원한다.

미래부는 이러한 전략안이 계획대로 이행되면 2017년 국내 우주시장 규모가 현재의 8866억원에서 3배 이상 늘어난 2조8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우주분야에서 45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인력 양성 방안으로는 우주전문교육센터(가칭)을 열어 현재 2200여명 선인 우주분야 전문인력을 2020년까지 4800명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