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북발언에 이어 대통령 퇴진, 너무 나갔다“... 청와대 가만히 있으면 잘못된 메시지... 초강경기류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전주교구 박창신 원로신부의 “하야도 아니고 그냥 퇴진해야 한다”는 발언에 청와대가 강경대처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및 천안함 폭침 도발을 옹호하는 발언에서 한 발 더 나가 지난 18대 대선을 부정선거로 규정하고 퇴진 운운하는 것은 인내선을 넘어섰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정쟁’과의 선긋기로 한동안 일정 거리를 유지하려 했던 청와대가 박 신부의 발언을 계기로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해 공세로 전환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정치권과 청와대 주변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한 달여 만에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를 종북성 발언에 대한 비판과 민생 강조로 시작데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사회 저변에 퍼져 있는 종북세력과 대선 불복 움직임에 대한 강력한 견제를 하면서, 동시에 연말 예산안 처리와 임명동의안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황찬현 감사원장 내정자의 등 인사문제에서 민주당을 강하게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더 이상 수세적으로 끌려가서는 되려 야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와 관련 “대통령이 강한 의지를 말한 것으로 충분히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도 “아무리 종교인이라고 하지만 시국 미사에서 나온 박 신부의 연평도 포격과 천안함 발언은 정상적인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권 한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안보관은 절대로 양보할 수 없는 원칙이자 가치와 연결돼 있다”며 “정홍원 국무총리와 국방부 등 정부부처는 물론 당정청이 일제히 초강경 대응하고, 박 대통령이 취임 후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말씀하신 것은 그만큼 이같은 문제에선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대외에 천명한 것이다“고 말했다.

또 종교계 일각에서 일고 있는 대통령 퇴진운동은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인내선으로 통하는 ‘정권의 정통성’을 뿌리째 흔들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정원 등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의혹이 대선불복 기류로 확산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차원에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했다고 정치권은 분석했다.

종교계와의 불필요한 대립각을 세우는 것이 좋을게 없다는 일부 참모진들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이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어조로 비판을 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여야의 정쟁에 휘말려 취임 첫 해를 성과없이 끝낼 수 있다는 위기감도 청와대의 강경 기류를 자극했다는게 정설이다. 여권 또 다른 관계자는 이와관련 “내년도 예산 심의와 민생관련 법안을 특검과 연계하려는 듯한 야권의 움직임에 쐐기를 박고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청와대가 쥐고 나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비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박 신부의 발언에 대해 청와대와 여당이 적극 대응할수록 국가기관의 대선개입 의혹은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밀려 날 수 있어 당분간 강경기류는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 감사원장 임명동의안 처리와 청와대의 검찰총장 등 임명강행, 예산안 심의 압박 등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대야 압박은 점점 강도를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