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브드 폰’ 탐나긴 하지만…높은 출고가에 반응 ‘글쎄’
갤라운드 · G플렉스 하루 개통 1000대 미만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곡면 화면의 ‘커브드 스마트폰’이 출시됐지만, 초기 높았던 관심에 비해 실제 판매량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출고가와 박한 보조금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26일 통신 및 제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갤럭시라운드’와 LG전자 ‘G플렉스’ 두 제품의 하루 개통량이 1000대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한 제품이 하루 5000~1만대 개통되면 흥행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2000대만 돼도 평작 이상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갤럭시라운드와 G플렉스는 둘이 합쳐도 평작 기준의 절반 이하밖에 안 되는 것이다.

G플렉스가 하루 개통량이 300~500대 수준이라면 갤럭시라운드는 이보다 100대 정도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G플렉스는 통신3사 모두를 통해 출시됐고, 갤럭시라운드는 SK텔레콤으로만 단독 출시됐다.

커브드 스마트폰 판매 부진에는 출고가가 100만원대 전후로 높은 것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갤럭시라운드는 108만9000원이고, G플렉스는 99만9000원이다. 이는 갤럭시노트3(32GBㆍ106만7000원), 아이폰5s(64GBㆍ107만8000원) 등과 함께 현재 국내 시장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 중 최상위 수준이다. 

삼성전자 갤럭시라운드(왼쪽)과 LG전자 G플렉스

반면 커브드 스마트폰에 붙는 제조사 장려금과 이통사 보조금은 통상 10만~20만원 정도에 불과해 이를 제하고도 할부 원금은 80만원 안팎이라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교체하기에 부담스럽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통신시장에서는 가입자 유치 경쟁을 위해 갤럭시S4, LG G2, 베가시크릿노트 등에 보조금이 더 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통신사 직영대리점 관계자는 “제품에 만족한 고객도 할인조건을 보고 결국에는 보조금을 더 많이 주는 폰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구글 레퍼런스폰 넥서스5가 SK텔레콤ㆍKT 등을 통해 출시되는 것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신 모바일 운영체제 안드로이드4.4 킷캣을 장착하고 프리미엄 수준의 프로세서(2.3㎓ 쿼드코어)를 탑재했음에도 출고가는 46만원(16GB)이다. 자급제용도 52만원(32GB)으로 커브드폰 반값 수준이다.

커브드 스마트폰이란 별도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전략폰, 대화면폰, 보급형폰처럼 별도 시장이 만들어져야 기본 수요가 생기는데 커브드폰은 아직 ‘시장’이라고 부를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정태일 기자/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