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대공원 호랑이 참사는 ‘예고된 人災’
안전교육 미흡 · 시설관리 부실
市, 총체적 안전불감증 도마에


지난 24일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에서 벌어진 ‘호랑이 참사’는 사육사에 대한 안전교육 미수 및 시설 안전점검 관리 부실 등 공원 측의 안전불감증에 의해 예고된 참사였다.

지난 노량진 배수로 수몰(7월), 방화대교 접속도로 붕괴(7월)참사에 이어 잇따라 인재가 발생하면서 시 당국의 안전관리 부실이 또다시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사고를 당한 사육사는 과다출혈과 신경손상에 의한 의식불명 상태로 생명이 위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서울시와 서울대공원 등에 따르면 서울대공원은 사육사에 대한 정기적인 필수 안전교육을 전혀 진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외부동물단체에 의한 강연은 분기별로 1회 진행하지만 이 조차도 참석이 자율적이라 참석률은 높지 않다. 동물관 관계자는 “필수가 아니다 보니 당직자 등 불참하는 사육사가 상당하다”고 털어놨다.

팀별 자체 안전교육도 규정은 있지만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교육 진행 여부에 대한 동물원 측의 확인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맹수 사육장 청소는 2인 1조로 움직여야 하지만 사고 현장엔 사고를 당한 사육사 한 명뿐이었다. 서울대공원 관계자는 “꼭 2명이 함께 방사장에 들어가야 하는 건 아니고 한 명은 소리가 들리거나 관찰이 가능한 곳에 있으면 된다. 당시 동행한 사육사는 방사장 건물 뒤에 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쓰러진 사육사를 발견한 사람은 동료 사육사가 아닌 매점 직원이었다. 동물원 측은 “이 점은 내부적으로도 미스터리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육사에 대한 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사고를 당한 사육사는 27년 경력 중 26년을 곤충만 담당했다. 올해 초 호랑이 사육장으로 발령이 났지만 별다른 안전교육 기간 없이 발령 다음날부터 호랑이 방사장으로 투입됐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매년 100억원 이상 나는 적자 때문에 서울시가 시설관리 및 인력 충원에 인색했던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도 문제점을 드러냈다. 호랑이, 사자 등 맹수가 있어 수시로 잠금장치 등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진행해야 하지만, 동물원 측은 명절 및 봄ㆍ가을 성수기에만 일시적으로 점검을 해 왔던 것으로 밝혀졌다. 도약거리가 3m가 넘는 호랑이를 펜스 높이가 1.5m에 불과한 여우사에 방사한 점, 맹수 방사장이지만 CCTV가 설치되지 않았던 점 등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고 직후에도 대공원 측이 해당 호랑이를 그대로 관람객들에게 공개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