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KT 회장선임, 정권 입김 단절의지 보여야
이석채 KT 회장 낙마 사태를 지켜보는 심경이 착잡하다. KT는 국내 최대 기간통신망을 보유한 초거대 기업이다. 최고경영자(CEO)는 전문성과 안정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최상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나아가도록 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그것이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길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실은 딴판이다. 정권 교체 때마다 CEO가 불명예 퇴진하는 후진적 관행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국민들이 안중에 있다면 결코 있을 수 없는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이 회장 사태는 전개과정이 5년 전과 한 치도 다르지 않다. 노무현정부가 임명한 남중수 당시 회장 역시 2008년 연임이 됐지만 이명박정부가 들어서면서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물러났다. 검찰에 수사를 받게 되는 장면조차 약속이나 한듯 똑같다. 물론 비자금 조성과 무궁화위성 헐값매각 등에 대해서는 철저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밝히고 결과에 따라 의법 처리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퇴진 명분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적 수사로 흐르는 일은 없어야 한다.

문제는 낙하산 인사다. 이번에도 정권의 줄을 타고 내려온다면 고질적인 CEO 리스크 폐해는 결코 종식되지 않는다. ‘내 사람’이 아닌 회사를 잘 이끌 ‘최고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 권력과 이런 저런 인연으로 얽혀 KT처럼 주인 없는 회사를 장악하면 힘만 믿고 전횡을 휘두르기 십상이다. 이 회장만 해도 재임 중 회사를 사유화(私有化)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실제 MB정부 후반기 여권 인사들을 영입하고, 측근들의 고속 승진 등 독선적 경영행태를 보였다. KT뿐이 아니다. 포스코와 KB국민은행 등 민영화된 기업은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다 마찬가지다.

관건은 후임 회장의 면면이다. 전문성과 경영능력을 갖추었다면 현 정권과 연관이 있는 인사라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하지만 이번 후임 인선에서는 KT류의 기업 인사에 정권 개입을 확실하게 단절했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내 사람을 앉히겠다는 생각만 버리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벌써부터 KT 회장 자리를 놓고 권력 주변의 인사들이 자천타천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그 중에는 도무지 KT 회장에 어울리지 않는 정치권 인사도 포함돼 있다. 이런 인사가 거명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더없이 불쾌하다.

이와 함께 선진적 지배구조를 구축할 최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 지배구조가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하며 CEO는 정권에 관계없이 소신있는 경영을 펼칠 때 기업의 경쟁력은 극대화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