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장률 내리막길…신흥국 단물 다 빠졌다?
2010년 이후 성장률 3%P 둔화
단기간 고성장 복귀 가능성 희박
“용량제약에 직면” 비관론 확산
QE축소땐 자금 엑소더스 불가피

“인도 등 경기부양 노력” 낙관론도


신흥국의 고도성장 시대는 저무는 것인가.

중국서 터키, 브라질까지 성장률 둔화가 가시화하는 가운데 신흥국 성장이 최고점에 다달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 “신흥국 성장률이 2010년 이래 3% 포인트 둔화해 분기 기준 성장률이 연율 5%로 추락했다”며 “단기간내 고성장으로 회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신흥국 성장세 둔화가 뉴노멀(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선진국을 따라잡으려는 개도국의 행진이 잠시 숨고르기를 하는 것인지 이론(異論)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신흥국 고성장 더 간다=신흥국 경제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뿌려놓은 유동성의 덕에 지난 10년 간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실제로 2000~2012년사이 신흥시장은 연평균 6%씩 성장했다. 같은 기간 선진국이 2% 성장에 그친 것에 비하면 폭발적인 성장이다.

이를 반영하듯 신흥시장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0년 내 그 비율이 3분의 2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흥시장 낙관론자들은 신흥국의 경기부양 노력을 높이 사고 있다. 스페인 은행의 아시아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인도 등 신흥국 경제는 도시화와 함께 되살아날 것”이라며 “바로 그 생산성 향상이 가져오는 따라잡기가 고도 성장을 복구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IMF는 최근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2018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7%로, 지난 15년간 보였던 연평균 9.6% 성장률보다 낮춰잡으면서도 “최근의 하락세는 환영할 만하다”며 “그것은 신흥시장이 자산거품을 일으키지 않고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산업화 단물 다 빠졌다=반면 개도국의 산업화는 이미 결실을 볼 만큼 봤다는 비관론도 나온다. 지난 2년 전부터 고도성장에 균열을 보여온 대부분의 신흥국이 이제 ‘용량 제약(capacity constraints)’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인구는 고령화돼 가고, 교육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됐다. 임금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와 만연한 부정부패 등도 성장 저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흥국에서 자금 엑소더스(대탈출)를 몰고 올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10년 간 지속된 원자재 슈퍼 사이클(장기간 가격 상승)의 종언은 신흥시장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앤더스 애스룬드 선임 연구원은 “(신흥국의) 산업화 진보는 이제 끝났다”며 “부자 나라든, 가난한 나라든 대부분 국가는 1980년~2000년 사이 보였던 성장률 3.5%수준으로 회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방국가의 경제가 살아나고 있음에도 신흥국의 수출 주문이 저조한 점도 이같은 비관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미국 등 서방 소비자들이 신용 위기에 노출을 줄이고 저축 늘리면서, 아시아산(産) 물건 소비를 늘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글로벌 굴뚝’을 자처했던 중국은 임금인상과 위안화 강세 영향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해외시장에서의 제품 매력을 반감시키고 있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