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新) PK 시대의 도래?...박근혜식 인사 법칙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지난 주말 공석이던 검찰총장 후보에 김진태 전 대검 차장이 지명되면서 박근혜 정부 출범 8개월여만에 ‘5대 권력 기관장’의 라인업이 끝났다. ‘국정철학 공유’와 ‘비정상의 정상화' 고삐를 죄기 위한 전열을 이제야 가다듬은 셈이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벌써부터 ‘신(新) PK 시대의 도래’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어 이번 박 대통령의 인사를 놓고 정국은 또 한번 이전투구를 벌일 전망이다.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와 김 검찰총장 후보자는 모두 부산ㆍ경남(PK) 출신이다. 이에따라 5대 권력 기관 중 두 곳이 PK 출신이, 이외에 서울 2명(남재준 국정원장ㆍ이성한 경찰청장), 대전 1명(김덕중 국세청장)으로 채워지게 됐다. 보통 5대 권력 인선에서 ’탕평책‘으로 지역별 안배에 신경을 쓰는 것과는 거리가 먼 셈이다.

이와함께 정홍원 국무총리(하동),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거제),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부산) 등 장관급 이상 요직에 PK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또 최고법률 심판기관인 박한철 헌법재판소장도 부산 출신이다. 특히 더구나 경남 마산 출신인 황 감사원장 후보자는 마산중을 나온 김기춘 실장, 마산이 고향인 홍경식 청와대 민정수석과 지연ㆍ학연으로 얽혀 있다.

국정원을 제외한 4대 권력기관(감사원ㆍ검찰ㆍ경찰ㆍ국세청)의 고위직 인사를 보더라도 PK 편중이 유독 눈에 띈다. 안전행정부의 국회 국정감사 제출 자료에 따르면 4대 권력기관의 고위직 인사 10명 중 4명은 영남 출신 인사로 채워져 있다. 이들 기관의 고위직 152명의 출신지역은 대구ㆍ경북(TK)이 35명(23.0%)으로 가장 많았고 PK가 27명(17.8%)으로 뒤를 이었다. 영남 출신이 40.8%에 달한다. 이어 서울ㆍ경기ㆍ인천 출신은 32명(21.1%)이었고, 광주ㆍ전남ㆍ전북은 27명(17.8%), 대전ㆍ세종ㆍ충남ㆍ충북은 21명(13.8%)으로 집계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관련 “지역을 따지지 않고 적임자를 찾은 것”이라며 “새 정부는 지연이나 학연, 그 밖의 다른 사안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 직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인지가 인선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말했다. 국정철학 공유와 전문성, 비정상의 정상화에 적합하냐가 주요 인선 요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야당에선 벌써부터 박 대통령의 이같은 지역편중 인사에 비판의 목소리를 쏟아내 향후 박 대통령의 정국 운영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와관련 ”사정ㆍ감사 라인을 PK(부산·경남) 출신이 독식, ‘신(新) PK시대’가 도래했다”며 “누가 봐도 자연스럽지 못한 비정상의 극치의 인사”라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또 “감사원, 검ㆍ경, 국세청 등 4대기관 고위직의 40%가 특정 지역 출신으로, 대통합과 100% 대한민국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이 실종을 넘어 멸종됐다”며 “견제와 균형이 없으면 인사불균형은 더 심화될 것이며 균형 잡힌 여론수렴도 불가능하다. 왜곡 편향 보고로 대통령의 독주만 심해진다”라며 거듭 ‘대탕평 인사’를 촉구했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