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보릿고개 넘은 세계 車 시장, ‘현대ㆍ기아차는 더 큰 시련’
[헤럴드경제= 김상수 기자]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의 회복세에도 불구, 현대ㆍ기아차는 한층 더 힘겨운 한해를 보내리란 전망이 나왔다. 최근 5년간 세계 경기 불황과 경쟁업체의 부진 속에 현대ㆍ기아차가 ‘실용적인 차’를 앞세워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높였지만, 경기가 회복세를 보일 내년에는 한계에 부딪히리란 분석이다. ‘실용성’만을 강조한 전략으론 선진 시장에서 더이상 지금 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수 없다는 위기론이다.

18일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올해보다 4.1% 증가한 836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올해 예상 성장률인 3.2%를 웃도는 수치. 특히 극심한 경제 불황을 겪었던 유럽 시장이 내년에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1387만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자동차 시장이 증가세를 보이게 되는 건 7년 만에 처음이다. 박홍재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장은 “이미 올해 4분기에 이미 유럽은 회생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며 “내년엔 유럽을 비롯, 신흥시장도 성장 기조를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이 같은 ‘핑크빛’ 전망과 달리, 현대ㆍ기아차의 내년 ‘농사’ 전망은 녹록지 않다는 데에 있다. 우선 유럽차 브랜드의 반격이 예상된다. 박 소장은 “내년부터 유럽 시장이 점차 회복세를 보여 2020년 이후엔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라며 “유럽 브랜드의 부진은 지난 5년간 현대ㆍ기아차엔 호재였으나 내년부턴 이 같은 호재가 위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조금씩 변하는 자동차 트랜드도 현대ㆍ기아차엔 난제.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이 과거 고급차 중심에서 실용성을 강조한 대중차 중심으로 바뀌었고, 현대ㆍ기아차가 선진국 시장에서 성공한 비결도 이 같은 트랜드에 잘 부합했기 때문. 하지만 내년부터 유럽 등 선진국 경기가 회복세로 접어들면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트랜드도 약화되리란 게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의 전망이다. 현대ㆍ기아차 모델의 기존 강점이 희석된다는 의미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스포츠유틸리티차랑(SUV) 인기도 이 같은 트랜드를 반영하고 있다. 레저활동 인구 증가 등 자동차를 이동수단 이상으로 활용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는 방증이다.

2011년 세계 자동차 판매 중 13.6%를 차지했던 SUV의 점유율은 올해 1~8월동안 15.5%로 증가했다. SUV가 인기를 끌면서 SUV 신차 개발 주기도 84개월에서 61개월(도요타 라브4), 73개월에서 49개월(쉐보레 에퀴녹스)로 줄어드는 등 자동차업계도 빠르게 신차를 쏟아내는 추세. 박 소장은 “현대차도 지금까지 SUV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업체마다 이 시장을 주목하면서 내년엔 한층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밖에 노사갈등 리스크, 혼다와 도요타의 친환경차 경쟁력 강화, 국내 수입차 강세 등도 내년 현대ㆍ기아차의 험난한 내년을 예고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올해 말부터 연이어 선보일 신형 제네시스, 신형 쏘나타 등 현대차 후속 신차가 중요한 시금석이 되리라 전망했다. 박 소장은 “기존 모델의 연이은 성공으로 이미 고객 기대치가 크게 높아진 상태”라며 “실용성만 강조한 모델로는 이제 이 같은 기대치를 충족하기 힘들다. 신차가 실용성을 넘는 가치를 줄 수 있는지 여부가 현대ㆍ기아차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dlcw@heraldcorp.com

<표>

내년 자동차시장 전망(단위 만 대)

시장 대수(만 대) 증가율(%)

세계 8360 4.1

미국 1610 3.2

유럽 1387 2.5

일본 507 -3.9

중국 1854 9.4

인도 258 5.8

브라질 369 1.4

러시아 294 5

국내 158 2.4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제공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